오는 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 대표단의 채재비 등 경비가 민감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북한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호텔 숙박비 등 대표단의 경비를 제3국에서 부담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 회담 준비 사항을 잘 알고 있는 두 명의 인사를 인용해 북한 쪽이 이러한 요구를 하고 있어 미국 정부는 이 경비를 싱가포르 정부가 부담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 대표단의 경비를 부담하는 것에 열린 자세이나, 북한 쪽이 미국이 직접 지불하는 것은 모욕으로 볼 것으로 우려해 이같은 방안은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은 이번 회담에서 미국 대표단과 동등한 의전 및 대우를 받기를 원하나, 이를 감당할 경비를 치를 외화가 부족한 북한의 현실로 이같은 요구가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 쪽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숙소로 원하는 곳은 특급호텔인 풀레튼호텔의 프레지덴셜 스위트룸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그 하룻밤 숙박비는 6천달러 이상이다.
헤더 나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1일 “미국은 싱가포르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비를 부담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미국이 북한 대표단의 경비를 싱가포르 정부가 부담하도록 주선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앞서 국무부는 이 문제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었다.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 대표단의 경비 부담 문제는 현재 유엔 및 미국의 대북한 제재에 위배되는 사안이어서, 미국 정부는 이 사안에 대한 제재의 일시적 유예를 모색하고 있다.
한편 북미 정상회담의 장소로는 휴양 리조트 섬인 센토사에 있는 카펠라호텔이 유력하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현재 카펠라 호텔에서는 대형 행사 개최에 필요한 텐트 등 임시 건조물들이 설치되고 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회담 중 대형 국제행사를 꾸준히 유치해 보안에 유리한 샹그릴라호텔에 묵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