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워싱턴? 평양? 제3국?…김정은-트럼프 이번엔 어디서 만날까

등록 2018-09-25 13:12수정 2018-09-25 14:04

미 워싱턴이나 마러라고…김정은 이동·경호·여론 등 변수
종전선언 무게둔다면 판문점이나 평양 가능성도
트럼프 “1차 때와 비슷한 포맷”…이번에도 제3국?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의 카펠라호텔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센토사/AP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의 카펠라호텔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센토사/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기정사실화하고 “장소와 시기에 관해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힘에 따라, 두 정상이 언제, 어디서 다시 마주앉을지 관심이 쏠린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는 한반도 종전선언 행사까지 한꺼번에 이뤄질 수 있을지와 연동돼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가 이날 기자들에게 “한-미 정상회담에서 종전선언, 그리고 2차 미-북 정상회담의 장소, 시기 등에 대해 두 분 사이에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고 말한 점도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북-미 간에 협의가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우선 생각해볼 수 있는 향후 시나리오는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4차 평양 방문→2차 북-미 정상회담→남북미 또는 남북미중 종전선언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지난 18~20일 3차 남북정상회담과 이날 한-미 정상회담을 거치며 한국, 북한, 미국의 세 정상들이 내놓는 긍정적인 반응과 실무급 접촉 움직임의 속도를 보면, 10월에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11월6일 중간선거 이전에 북핵 문제 해결을 외교적 성과로 부각시킬 수 있다는 점 또한 ‘10월 북-미 정상회담’ 전망을 키우는 요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러시아 스캔들’ 수사와 백악관의 혼돈상을 담은 밥 우드워드의 책 출간, 브렛 캐버노 대법관 지명자의 과거 성추문 의혹 등으로 정치적 수세에 몰려있다.

10월에 북-미 정상회담을 할 경우 우선 고려할 수 있는 회담 장소는 미국 워싱턴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별장인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때 ‘김정은 위원장을 백악관으로 초대하겠느냐’는 기자 질문에 “그러겠다”고 답한 바 있다. 북한 최고 지도자를 최초로 미국으로 불러들여 확실한 비핵화 조처를 좀더 구체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면, 이때 문재인 대통령까지 참여해 남북미 3자 종전선언을 하는 방안도 상상해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김 위원장의 장거리 이동 문제와 미국에서의 경호·의전 문제를 한 달 안에 해결하는 데 무리가 따를 수도 있다. 김 위원장을 미국 안방으로 불러들이는 데에 대한 미 행정부 내 의견과 여론도 변수다.

북-미 정상회담과 동시에 한반도 종전선언까지 하는 그림을 생각해본다면, 장소는 미국 이외의 곳이 고려될 수 있다. 한국전쟁의 당사자인 한반도가 우선 떠올릴 수 있는 장소다. 특히, 65년 전 정전선언이 이뤄진 판문점에서 종전선언이 이뤄진다면 역사적 상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지리적으로도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 정상이 함께 종전선언을 하기에 맞춤한 곳이다. 판문점은 1차 북-미 정상회담 때도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은 어떤가”라며 회담지로서 한번 관심을 표했던 곳이기도 하다. 북한이 미국 내 회의론을 잠재울 수 있는 수준의 ‘화끈한’ 비핵화 조처를 내놓을 수 있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수도 평양으로 직접 날아가 통큰 모습을 보여주는 방안도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이 ‘북-미 정상회담 장소·시기를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심도 있게 논의했다는 것은 남북미 정상회담도 염두에 둔 것이냐’고 묻자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평양이나 판문점 개최 방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남북한의 조연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참모들의 부정적 의견을 뛰어넘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1차 때처럼 이번에도 미국이나 한반도가 아닌 제3의 장소로 낙점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지난 번과 비슷한 포맷이 될 것인데, 다른 장소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싱가포르가 아닌 또 다른 제3의 장소가 될 수 있다는 뜻으로도 읽힌다. 북한과 미국이 핵 협상을 벌여 ‘제네바 합의’를 도출했던 스위스 제네바, 또는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한에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의 협상을 제안하면서 장소로 지목한 오스트리아 빈 등이 후보지가 될 수 있다. 이들 모두 중립적 이미지를 갖고 있기도 하다.

종전선언을 미국 중간선거 이후에 한다면, 11월 중순 이후 열리는 다자정상회의들도 계기가 될 수 있다. 11월에는 17~18일 파푸아뉴기니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고, 30일부터는 아르헨티나에서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제 정상회의에는 불참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화보] 문 대통령 평양 뒤 미국 순방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