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 워싱턴디시 백악관 집무실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으로부터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받고 있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소셜미디어국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부위원장이 회동한 이튿날인 19일 트위터로 이 사진을 공개했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소셜미디어국장 트위터 갈무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개최국을 선정했으나 추후에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북한 비핵화에 관해서도 “많은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날 낮에 이뤄진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의 백악관 면담에 대해 먼저 말을 꺼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어제 북한과 매우 좋은 만남을 가졌다. 그것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좋은 만남이었다. 거의 두시간 진행됐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아마도 2월 말 언젠가에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우리는 나라(정상회담 개최지)를 선정했지만 추후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부위원장의 90분 면담 직후 보도자료를 내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2월 말께 열릴 것이며, 장소는 나중에 발표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김정은은 그것(정상회담)을 고대하고 있고, 나도 마찬가지”라며 “언론에는 보도되지 않지만 우리는 비핵화에 관한 한 많은 진전을 이뤄왔다. 우리는 다른 많은 것들에 대해서도 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거듭 “불행히도 보도되지 않고 있지만 우리는 엄청난 진전을 이뤄왔다. 하지만 보도될 것”이라며 “북한과는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2차 북-미 정상회담 장소를 너무 머지않아 발표할 것”이라고 말한 이후, 17일 김 부위원장의 워싱턴 도착, 18일 백악관 면담 직후까지도 트위터 글 등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그러다 김 부위원장이 워싱턴을 떠나는 날 오전 “많은 진전을 이뤘다”며 그간의 침묵을 깬 것이다.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왼쪽 넷째)이 2박3일간의 워싱턴 방문을 마치고 19일(현지시각) 오후 덜레스공항에서 탑승 준비를 하고 있다. 덜레스공항/방송공동취재단
한편, 김영철 부위원장 일행은 이날 오후 2박3일간의 워싱턴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다. 김 부위원장 일행이 탑승한 에어차이나 CA818편은 오후 3시47분 중국 베이징 서우두공항을 향해 이륙했다. 앞서 김 부위원장 일행은 이날 낮 12시40분께 숙소인 워싱턴 듀폰서클호텔을 출발해 오후 1시10분께 덜레스공항에 도착했다. 김 부위원장은 별도의 귀빈용 출국 수속대를 통해 곧장 안으로 들어갔으며, 김 부위원장을 수행한 최강일 외무성 북미국장 대행은 기자들의 질문에 “노코멘트”라는 말만 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