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3.19 20:20 수정 : 2019.03.19 20:31

지재룡 대사 <한겨레> 자료사진

지재룡 주중·김형준 주러·김성 주유엔 대사 동반 귀국
대사회의 개최?…대미 협상 전략 수정 위한 논의?

지재룡 대사 <한겨레> 자료사진
하노이 2차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미의 책임 공방이 이어지는 민감한 시기에 중국, 러시아, 유엔 주재 북한대사가 동반 귀국했다.

19일 베이징 소식통 설명을 종합하면, 북한의 지재룡 주중대사, 김형준 주러대사, 김성 주유엔대사가 이날 오후 베이징 서우두공항에서 고려항공편으로 함께 평양으로 향했다. 이들이 북-미 협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동반 귀국 이유가 주목을 끈다.

한 소식통은 “주요국 대사들이 돌연 귀국하는 경우는 공관장 회의가 소집되거나, 본국의 특별한 요구가 있을 때”라며 “이들의 동시 귀국은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이후 북한은 2015년 7월, 2017년 4월, 2018년 7월에 대사회의(공관장 회의)를 소집했다. 대사회의가 소집되면 주요국 대사와 총영사 등 50여명이 귀국해 당 조직지도부 및 외무성 간부 등과 함께 대외 사업 전반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선출된 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들의 첫 회의가 4월 초·중순에 열릴 전망이어서, 이를 앞둔 행보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 뒤 대화 재개의 동력이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귀국이 새로운 협상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회담 이후 제재 강화와 일괄 타결을 부쩍 강조하는 미국에 맞서 북쪽에선 최선희 외무성 부상을 내세워 ‘협상 중단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맞서고 있다.

특히 협상의 최대 쟁점인 제재 문제와 관련해 유엔, 중국, 러시아가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된 논의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초부터 러시아와 함께 제재 완화·유예를 주장해온 중국은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에도 단계적·동시적 조치를 강조하며, 미국이 주장하는 일괄 타결 방식을 에둘러 비판해왔다. 김성 대사는 11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9월에 북한에서 열기로 한 세계보건기구(WHO) 동남아시아 지역총회 제72차 회의가 제재 탓에 무산됐다고 주장하며 제재 해제를 요구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