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친중 국가에 방역 수출 나선 중국…‘코로나 책임’ 씻길까?

등록 2020-04-14 18:38수정 2020-04-15 02:32

마스크를 쓴 한 시민이 지난 1일 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 시내를 걷고 있다. 뒤편에 ‘고마워요 시(진핑) 큰형’이라고 쓴 대형 전광판이 보인다. 베오그라드/로이터 연합뉴스
마스크를 쓴 한 시민이 지난 1일 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 시내를 걷고 있다. 뒤편에 ‘고마워요 시(진핑) 큰형’이라고 쓴 대형 전광판이 보인다. 베오그라드/로이터 연합뉴스

지난달 중국 의료전문가 6명이 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 공항에 도착했다. 이들은 레드카펫을 밟으며,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과 각료들의 환영을 받았다. 지난주에는 12명에 이르는 중국 의료팀이 필리핀에 도착해 바이러스 퇴치 지원 활동에 나섰다.

최근 우한 봉쇄를 해제한 중국이 세계 각국에 전염병 정보를 공유하고, 물자와 의료진을 파견하는 등 코로나19 대응법 전파에 적극 나서고 있다. 코로나19 진앙지라는 ‘중국 책임론’을 코로나19 해결사라는 ‘중국 공헌론’으로 바꾸고,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조처라는 해석이 나온다.

장쥔 유엔 주재 중국대사가 지난 8일 유엔 대표들에게 보낸 서한을 보면, 중국은 지난 7일 기준 세르비아와 필리핀 외에 캄보디아, 이란, 이라크, 라오스, 파키스탄, 베네수엘라, 이탈리아 등 총 9개국에 11개 의료팀을 파견했다. 대부분 친중 국가들로, 이탈리아는 중국 외교 프로젝트인 ‘일대일로’에 서방 선진 7개국(G7) 중 유일하게 참가했다. 중국은 이 밖에도 세계 100여개국에 코로나19 방역과 진료 방안을 공유하고, 세계보건기구(WHO)에 2000만달러(약 243억원)를 기부하는 등 국제기구와 지역기구 10여곳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지원에 대한 이들 국가의 반응은 호의적이다. 캄보디아는 중국 조언에 따라 비자 발급을 대폭 줄였고, 세르비아는 가벼운 증상이 있는 사람들을 격리하고, 군대를 동원해 야전병원을 세웠다. 베오그라드 시내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얼굴 옆에 세르비아 글자와 한자로 ‘고마워요, 시(진핑) 큰형’이라고 쓴 대형 전광판이 세워지기도 했다.

이런 중국의 행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시선은 곱지 않다. 중국이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아 이번 사태를 키운 상황에서, 뒤늦게 코로나19 대응책을 전파하는 등 자신들의 영향력 확대 계기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중국 외교정책을 총괄하는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원은 지난달 17일 “중국 인민의 노력을 통해 세계가 방역 업무에 나서는 데 귀중한 시간을 얻게 됐다”고 말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외교관 출신인 고든 홀든 캐나다 앨버타대학 중국연구소 소장은 “중국이 자국 이익을 위해 코로나19 발병을 이용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여기에는 방역이라는 방법을 이용해 중국의 통치 모델을 보급하는 것도 포함된다”고 <로이터> 통신을 통해 밝혔다. 라이언 해스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은 “많은 국가가 이 바이러스의 세계적인 확산을 초래한 중국의 초기 실책을 잊어버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