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6일(현지시각)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이 자국 주재 외신 기자들의 취재활동을 억압하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워싱턴/AP 연합뉴스
11일부터 미국에서 활동하는 중국 언론인의 비자(입국사증) 유효 기간이 90일로 제한된다. 미국과 중국이 전방위적으로 갈등 전선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언론 분야에서도 양쪽이 보복조처를 주고 받으며 갈수록 갈등이 격해지고 있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11일 “미 국토안보부가 미국에 체류하며 활동하는 중국 언론인에게 발급해 주는 비자의 유효기간을 90일로 제한하기로 했다”며 “비자 유효기간은 연장이 가능하며, 중국의 특별행정구역인 홍콩과 마카오 여권 소지자는 이번 조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전했다.
앞서 미 국토안보부는 지난 8일(현지시각) 관보에 19쪽 분량의 관련 자료를 게시하고, “중국에 체류 중인 미국을 포함한 외국언론의 독립적인 활동이 억압받고 있다”며 “비자 유효기간 축소는 상호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조처”라고 밝혔다.
미국의 이같은 조처는 코로나19 확산세 속에 지난 2월 중국이 <월스트리트 저널> 특파원 3명을 추방하면서 시작된 미-중 간 언론 분야 갈등의 연장선에 있다. 중국은 당시 이 신문이 중국을 ‘진정한 동아병부’(동아시아의 병자)라고 표현한 칼럼을 게재한 것을 문제삼았다.
미국은 지난 2월 <신화통신> 등 자국 주재 중국 관영 매체를 ‘외국정부 산하기관’으로 지정한 데 이어, 이들 매체에 발급해주던 상주비자 허용 기준을 기존 160명에서 100명으로 축소한 바 있다. 이에 맞서 중국은 <뉴욕타임스> 등 자국 주재 3개 미국 언론사 소속 미국인 기자의 기자증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추방하는 등 갈등이 증폭돼 왔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