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이 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을 방문한 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은 9일(현지시각) 한국과 미국이 동맹 관계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동맹은 외교안보의 근간이라고 말했다.
최 차관은 이날 오전 워싱턴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해 기자들이 ‘중국 관련해 미국 입장은 우리를 조금이라도 더 가깝게 끌어들이려는 욕심이 있을 것 같다’고 묻자 “끌어들인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모르지만, 대한민국과 미국은 동맹 사이다. 동맹 사이라는 것은 우리 외교안보의 근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우리는 미국의 동맹임과 동시에 중국에 근접하고 경제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라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이 어떠한 비전과 로드맵을 갖고 있는지 좀 더 들어보고 우리의 의견을 얘기할 수 있으면 얘기할 것”이라며 “한쪽으로 쏠린다는 언론의 표현과는 좀 다른 것”이라고 말했다.
최 차관은 ‘그 말은 미-중과의 등거리를 말하는 것이냐’는 추가 질문에 “등거리는 아니다. 왜나면 동맹은 기본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청와대 평화기획비서관에서 외교부 차관으로 승진 이동한 최 차관은 지난 2일 카운터파트인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과 상견례 통화를 한 데 이어, 첫 해외 출장지로 워싱턴을 방문했다. 최 차관은 이날 백악관 인사를 만났고 10일에는 비건 부장관을 만날 예정이다.
최 차관의 발언은 미-중 전략적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외교안보로 맺어진 한-미 동맹의 중요성에 무게를 두면서도 한-중 또한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라는 점을 재확인한 것이다. 미국은 최근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쿼드(미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인도) 플러스’ 구상에 한국의 참여를 희망하고 있다.
최 차관은 이번 방미 취지에 대해 “코로나19 상황이 엄중하기 때문에 한-미 간에 챙겨봐야 할 현안들이 많다”며 보건·방역 협력, 한-미 소통 문제, 문재인 정부와 트럼프 행정부가 3년간 지속해온 사업들에 대한 중간점검 등을 언급했다. 또한 “비건 부장관이 말했듯이 좀 더 어떻게 동맹을 재활성할 수 있을지 여러 가지 얘기할 것 같다”고 말했다.
최 차관은 11월3일 미 대선을 앞둔 북한의 무력 행동 가능성이나 ‘10월의 서프라이즈’ 등에 관한 한-미 논의 가능성에 대해 “상황과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일 비건 부장관이 통화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협상 문제를 언급했는지에 관한 질문에는 “특정 현안을 갖고 이야기한 적은 아직 없다”며 “통화의 연속선 차원에서 온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