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7일(현지시각) 미시간주 랜싱의 공항에서 지지자들을 상대로 연설하고 있다. 그는 조 바이든 후보가 선거 승리 연설을 한 뒤에도 패배를 인정하지 않고 시간끌기를 하고 있다. 랜싱/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밤(현지시각)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의 선거 승리 연설 뒤에도 승복 선언을 하지 않은 만큼, 경합주의 재검표 상황을 보면서 소송전 본격 돌입 여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낮 선거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함으로써 시간끌기 의지를 분명히 드러냈다. 측근들이 ‘패배 인정파’와 ‘불복 고수파’로 나뉜 상황에서 버티기를 선택한 것이다.
트럼프의 전략은 일단 주별 재검표와 소송 결과에 기대를 걸되, 여의치 않으면 마지막 수단으로 소송을 연방대법원까지 끌고 가는 것이 될 전망이다. 연방대법원은 보수 6, 진보 3의 보수 절대 우위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폭스 뉴스>는 트럼프 진영 소식통들을 인용해 그가 제기한 소송에서 모두 패소해 선거 결과를 뒤집을 수 없다는 점이 확실해지면 결과에 승복하고 평화적 정권 이양을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재검표는 네바다, 조지아,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주에서 실시될 가능성이 높다. 네바다주의 선거 규정에 따르면 특별한 조건 없이 재검표를 요구할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보도했다. 조지아주에서는 득표 차이가 0.5%포인트 미만이면 재검표를 요구할 수 있는데, 주 정부는 이미 재검표를 예고했다. 펜실베이니아주의 경우, 격차가 0.5%포인트 미만이거나 후보자가 요구할 때 재검표가 진행된다. 위스콘신주에서는 격차가 1%포인트 미만일 때만 재검표를 요구할 수 있으며, 개표율 99% 기준으로 이 요건은 갖춰졌다.
트럼프 진영의 소송 전략은 우편투표 유효성과 ‘유권자의 부정 행위’를 문제 삼는 두가지로 나뉜다. 이 가운데 그나마 기대해볼 만한 소송은 연방대법원에 계류 중인 펜실베이니아의 우편투표 접수 시한 연장 관련 소송이다. 대법원은 이 소송에 대해 지난달 28일 선거일까지 시한이 촉박한 관계로 일단 심의를 보류하고 선거 뒤 신속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소송을 통해서도 결과를 바꿀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