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보호소 출신 백악관 ‘퍼스트 펫’…내 이름 메이저, 형제는 5명

등록 2020-11-09 11:28수정 2020-11-09 13:29

트럼프 대통령 시절 끊긴 백악관 반려동물 전통 부활
바이든 부부, 셰퍼드 5마리 그레이트데인 1마리 키워
바이든의 반려견 '메이저'. 트위터 갈무리
바이든의 반려견 '메이저'. 트위터 갈무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백악관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던 역대 대통령들의 전통을 부활시킬 전망이다.

바이든 당선인은 미국 델라웨어주 자택에서 기르던 반려견들을 백악관으로 데려올 것으로 보인다고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이 보도했다.

백악관에서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바이든 당선인은 대선 유세 기간 소셜미디어에 "백악관에 반려견을 복귀시키자"는 글을 올리며 자신이 키우는 개들을 데리고 가겠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명했다.

바이든 당선인 부부가 키우는 반려견은 셰퍼드 5마리와 그레이트데인 1마리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바이든 당선인이 이름을 공개한 셰퍼드는 '메이저'(Major)와 '챔프'(Champ)로, 이들 2마리가 대통령이 키우는 반려동물인 '퍼스트 펫'(First Pet)이 될 가능성이 유력하다.

'메이저'는 바이든 당선인 부부가 2018년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유기견 보호단체에서 입양했고, '챔프'는 오바마 행정부 부통령 시절인 2008년부터 키웠던 반려견이다. 

조 바이든 트위터 갈무리
조 바이든 트위터 갈무리

만약 '메이저'가 백악관 생활을 시작하면 린든 존슨 전 대통령(1963∼69년 재임) 이후 처음으로 구조된 유기견이 백악관에 입성한 사례가 된다고 NYT는 전했다.

존슨 전 대통령은 텍사스주 주유소에서 딸이 발견한 유기견을 데려다가 백악관에서 기른 적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 시절 백악관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전통이 잠시 끊기긴 했지만, 역대 미국 대통령들은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을 길렀다.

동물 수집가였던 시어도어 루스벨트 전 대통령(1901∼09년 재임)은 백악관에서 말과 수탉뿐만 아니라 캥거루쥐, 기니피그, 뱀까지 사육했다.

또 캘빈 쿨리지 전 대통령(1923∼29년 재임)은 너구리를 반려동물로 길렀다.

이 너구리는 1926년 추수감사절 요리용으로 백악관으로 보내졌지만, 쿨리지 전 대통령은 너구리를 백악관에서 키우기로 하고, '레베카'라는 이름을 붙였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