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계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에 코로나19 백신 공급 압박을 가하고 있는 유럽연합이 27일 영국 공장에서 생산한 백신을 유럽에도 공급하라고 주장해, 자칫 영국과 갈등을 빚을 소지가 커지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유럽연합(EU)이 코로나19 백신 공급 목표를 지키지 못할 것이라고 밝힌 영국계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에게 영국내 공장에서 생산되는 백신을 공급하라고 압박하고 나섰다고 영국 <비비시>(BBC) 방송 등이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유럽연합은 앞서 지난 25일 회원국에서 생산된 백신의 수출을 통제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는 유럽에 생산 시설을 둔 아스트라제네카는 물론 벨기에에서 백신을 생산해 영국에 공급하는 화이자 등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안이다. 이 때문에 유럽연합의 백신 공급 압박이 자칫 유럽연합과 영국의 갈등으로 번질 여지도 있다.
스텔라 키리아키데스 유럽연합 보건 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아스트라제네카의 영국 공장은 가동에 문제가 없다”며 “이 공장 생산분 일부도 유럽연합과 맺은 계약에 포함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영국 공장 생산분을 유럽연합에도 공급해야 한다”며 “27개 회원국은 아스트라제네카가 우리와 합의한 공급 계약을 지켜야 한다는 데 의견 일치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유럽연합은 이날 아스트라제네카와 백신 공급에 대해 다시 논의했지만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최근 유럽연합에 대한 올해 1분기 백신 공급량을 애초 목표인 8천만회 접종분보다 60% 줄일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연합이 강한 불만을 표시하는 것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주 생산 시설인 영국 공장은 별 문제가 없지만 벨기에와 네덜란드 공장은 생산 차질이 빚어지기 때문이라고 <비비시>는 전했다. 유럽연합이 최대 4억회 접종분의 공급 계약을 맺으면서 지급한 자금이 영국 공장 개선 작업에 투입된 만큼 영국 공장에서도 백신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유럽연합 쪽의 논리다.
이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는 의도적으로 유럽연합에 공급을 늦추는 게 아니며 유럽연합의 주문이 영국보다 3개월 늦었다고 지적했다. 파스칼 소리오 아스트라제네카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독일 일간 <디벨트>와 인터뷰에서 “유럽연합 내 공장의 백신 원료 배양 생산성이 낮아 공급이 늦어지는 것”이라며 “유럽연합과 계약 내용은 공급에 최선을 다한다는 것일 뿐 공급 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벨기에, 네덜란드 외에 독일과 이탈리아에서도 백신을 생산해 공급할 것이라고 유럽연합쪽에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