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 클레인 미국 백악관 비서실장. 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코로나19 백신의 지적재산권을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방안을 세계무역기구(WTO)와 논의할 예정이다.
론 클레인 백악관 비서실장은 2일(현지시각) <시비에스>(CBS) 방송 인터뷰에서 “우리 캐서린 타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다음주 세계무역기구에 가서 어떻게 백신을 더 널리 배분하고 허가하며 공유할지에 관한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클레인 실장은 이 문제와 관련해 며칠 내로 미 정부에서 추가로 밝힐 게 있을 거라고 덧붙였다. 세계무역기구는 오는 5~6일 일반이사회를 열어 백신 지재권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미국은 인도 등의 코로나19 상황이 급격하게 악화하는 가운데 백신 공급을 늘리기 위해 제약사들의 백신 기술 지적재산권 보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라는 국제사회와 보건 전문가들의 요구를 받아왔다. 최근 타이 대표는 화이자, 노바백스 등 제약사 경영진을 만나 지재권 면제 문제를 논의했고,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재권 면제도 백신 공급 증대의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소장도 타이 대표와 지재권 문제를 상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지재권 면제는 제약사들이 반대하고 있고, 미 정부 안에서도 찬반이 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 미 진보 정치인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무소속)은 2일 <엔비시>(NBC) 방송에 인터뷰에서, 부자 나라들은 코로나19에서 회복중인데 빈국들이 감염 대폭 증가를 겪고 있는 것은 “도적적으로 불쾌한 일”이라며 세계무역기구가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지재권을 포기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