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AFP 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이른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논의 시작 가능성이 처음 언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가 빠르게 회복될 경우 현재의 돈을 푸는 완화적 통화 정책을 긴축 정책으로 바꾸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 등 보도를 보면, 연준이 19일(현지시각) 공개한 지난달 27∼2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의사록에는 “몇몇 참석자는 경제가 위원회의 목표를 향해 계속 빠르게 진전될 경우 향후 회의들 중 언젠가 자산매입 속도를 조정하는 계획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의견을 밝혔다”는 내용이 적혔다.
테이퍼링은 ‘점점 가늘어진다’라는 뜻으로, ‘양적완화 조치의 점진적 축소’를 뜻한다. 중앙은행이 국공채나 회사채 등 자산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돈을 푸는 양적완화를 점점 줄여나가는 것이다. 연준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제 회복을 위해 매달 1200억 달러(약 136조원) 규모의 채권을 사들여 통화를 늘리는 양적완화 정책을 1년 넘게 시행하고 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에서 향후 자산매입 축소 가능성이 언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시엔비시>(CNBC) 방송이 전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은 통상 3주 뒤에 공개된다.
앞서 지난달 28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자본 시장에 약간 거품이 낀 것들을 볼 수 있다”면서도 “경제는 우리의 목표까지 갈 길이 멀다. 테이퍼링에 대해 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테이퍼링 가능성을 일축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 공개된 의사록을 통해 자산매입이 더 이상 연준 내에서 만장일치가 아닌 것으로 드러나면서, 향후 테이퍼링, 즉 돈줄을 조이는 시점이 예상보다 앞당겨질지 주목된다.
연준은 평균 2% 이상의 물가상승률과 최대 고용을 달성할 때까지 완화적 통화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최근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2% 오르는 등 경제 회복 속도가 예상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테이퍼링 등 긴축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다만 물가 상승 염려에 대한 연준의 시각은 대체로 낙관적인 것으로 의사록에 나타났다고 미 언론은 분석했다. 경제 재개에 따른 수요 증가와 공급망 문제를 거론하면서 “회의 참석자들은 대체로 이러한 요인에 따른 일시적 효과가 사라진 뒤 물가 상승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고 밝혔다. 또 다수의 참석자가 “경제가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 목표를 향한 상당한 추가 진전을 이루기까지 얼마간의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예상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