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올림픽 선수단이 19일 나리타공항을 통해 일본 도쿄에 입국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쿄올림픽 개막이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선수촌 등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잇달아 발생하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안전·안심 올림픽을 치르겠다고 장담했지만, 개막도 전에 방역에 구멍이 뚫린 모습이다.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는 18일 도쿄올림픽 선수촌에서 선수 2명이 추가로 코로나 확정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선수촌 내 선수들 가운데 나온 첫 확진 사례다. 전날에도 조직위는 선수촌 내에서 올림픽 관계자 1명이 코로나에 확진됐다고 밝혔다. 조직위 발표를 보면, 현재 도쿄올림픽 관련 확진자는 모두 55명이다.
일본은 불안감에 휩싸였다. <마이니치신문>이 17일 전국 유권자 1087명(유효 답변 기준)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벌여 18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주장하는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올림픽 개최’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65%에 달했다. 가능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19%에 불과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와 일본 정부는 이번 올림픽을 ‘버블 방역’으로 치르겠다고 했다. 미국프로농구(NBA)의 ‘올랜도 버블’ 모델을 차용한 것이다. 미국프로농구는 지난해 코로나 확산으로 대회를 치르기가 어려워지자, 참가팀들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디즈니월드에 모아두고 외부와 단절된 채 대회를 치렀다. 현지 언론이 이를 물방울에 빗대어 버블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조직위는 버블 올림픽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내놨다. 예를 들어 일본에 입국하는 참가자들은 조직위에서 제공하는 택시를 타고 호텔로 이동해 사흘간 격리된다. 2주 동안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일본 현지인과 불필요한 접촉도 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일본 입국 때 위치 추적 기능 등이 있는 다섯 가지 애플리케이션도 설치하도록 요구한다.
올림픽 반대 시위대가 18일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환영행사가 열리고 있는 일본 도쿄 아카사카 영빈관(아카사카 별궁)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교도통신 AP 연합뉴스
문제는 조직위가 실질적으로 참가자들을 통제할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도쿄올림픽은 205여 개국 약 1만5000명이 참가하는 대회인데, 이들이 묵을 선수촌에서 이미 확진자가 나왔다. 취재진, 자원봉사자 등 다른 관계자를 포함하면 관련 인원수는 훨씬 늘어나는데, 이들을 모아둘 장소가 없을뿐더러 통제 인력도 부족하다. 조직위는 지정된 호텔 입구마다 경비원을 배치했지만, 다른 투숙객이 섞여 있어 식별이 어렵다. 실제 이곳 호텔에서도 경비원에게 먼저 “올림픽 관계자”라고 밝힌 뒤에야 관련 안내를 받을 수 있었다.
미국의 올랜도 버블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 당시에는 대회 참가팀이 22개에 불과했다. 디즈니월드라는 한정된 공간으로 참가자들의 행동반경을 제한할 수 있었다. 리조트로 꾸며진 디즈니월드는 내부에서 숙박이나 식사 등도 해결이 가능했다. 외부인들과 참가자들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이 가능했다. 미국프로농구가 남은 시즌을 단 한명의 추가 감염자도 없이 마칠 수 있었던 이유다.
최근 조직위원회는 각 참가단의 방역 문제를 담당하는 시에르오(CLO)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최근 일본 언론을 통해 도쿄에서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는 올림픽 관계자가 목격되고 있다. 적발될 경우 강력한 조처를 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경고를 하는 듯하지만, 실은 읍소에 가까운 제스처다. 도쿄의 버블 방역은, 안전한 테두리가 아닌 언제든 터질 수 있는 불안한 거품이 되어가고 있다.
도쿄/이준희 기자
givenhapp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