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즉각적 결의 채택 요청도 밝혀
[북한 핵실험 강행]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9일 북한의 핵실험 실시 발표와 관련해, 유엔 안보리 차원의 즉각적인 결의 채택을 추진하는 한편 자국의 미사일방어(MD) 체제 행보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이날 노무현 대통령과의 한-일 정상회담 뒤 롯데호텔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핵실험 문제와 관련해 단호한 행동을 취하기 위해 즉각 협의를 시작하도록 (안보리에) 요청할 것을 정부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본의 독자적인 대응 또는 엄격한 조치에 대해서도 검토를 즉각 시작하겠으며, 국제사회 및 유관국과 연계해 유엔이 아주 엄한 조처를 포함하는 결의안을 조속히 채택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는 이어 “일-미 동맹의 억지력을 가일층 향상시키기 위해 미국과 긴밀히 연계해 미사일 방어를 비롯한 일-미 방위협력을 추진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노 대통령과 나는 북한 핵실험이 사실이라면 그것은 일본과 한국을 비롯한 주변 각국 안전에 중대한 위협이며 동시에 국제사회의 평화안전에 대한 위협이라는 점과,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제조는 결단코 용인할 수 없으며 단호한 자세로 대처해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고 정상회담 내용을 소개했다.
그는 또 “우리는 더 위험한 새로운 핵의 시대에 접어들게 됐다”며 “북한의 핵실험 사실 발표는 2002년 일-북간 평양선언과 지난해 9월 6자회담의 합의, 올 7월 (북한 미사일 발사에 따른) 유엔 안보리 결의 1695호에 위배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사정거리를 연장시키고 있는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함께 생각할 때 동북아를 넘어 국제사회 전체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한발 더 나아가 “북한 핵무기 제조기술의 확산은 동북아뿐 아니라 세계 전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북한 핵실험은 핵 비확산체제에 대한 중대 도전이며 국제사회가 공동 대응해야 하는 과제”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한-일간 북핵 해법에 이견이 있을 수 있느냐’는 질문에, “노무현 대통령과 나는 북한의 핵실험 문제에 대한 인식이 다르지 않으며 공동보조를 취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북한 핵실험 실시가 확인되면 결단코 용인할 수 없다는 점 △국제사회는 가일층 엄격한 조처를 취해야 한다는 점 △한-일 양국은 앞으로 즉각적이고 단호한 대응을 한다는 점 △안보리가 엄격한 조처를 포함한 결의를 신속하게 채택하도록 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한다는 점 등을 양쪽이 합의한 ‘공동보조’의 예로 소개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