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문제로 한-일외교 위기·국내우파 비난 ‘이중 시련’
“여러가지 생각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냉정하게 판단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다”
중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처음으로 독도 영유권을 기술하는 최종 결정을 내린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는 15일 밤 권철현 주일 대사 일시귀국 등 강경 대응으로 맞서는 한국 정부에 거듭 냉정함을 요청했다. 후쿠다 총리는 돌연 휴가를 앞당겨, 독도 소용돌이를 피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그는 보통 오봉 연휴(8월15일 전후)에 여름 휴가를 보내왔다.
일본 안에서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와 후쿠다의 휴가는 편하지만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파문으로 인해 9월의 한-중-일 정상회담이나 후쿠다 총리의 한국 방문 계획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있는 등 후쿠다 총리의 외교에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국제무대에서 어느 정도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지 어렵게 됐다”는 권 주일대사의 발언을 전했다. 신문은 6자회담 등 국제무대에서 한-일 협력관계가 정체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나타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일본에서 9월 열리는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 안하면 큰 타격이 된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은 싱가포르에서 다음주 열리는 아세안 외무장관회의에 맞춰 한-일 외교장관 회담도 검토중이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한국쪽에 요청했으나 아직 명확한 회답이 없다”고 말해, 이 또한 이상기류가 흐르고 있음을 드러냈다.
국내상황도 호락호락하지 않다. 독도에 대한 해설서 기술이 “너무 미온적이다”라고 일본 내 강경우파들의 반발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산케이신문> 등 극우 언론들은 “영토, 영공, 영해, 그리고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을 지키지 않는 정부는 더 이상 정부가 아니다”라고 후쿠다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
후쿠다 총리는 한국으로부터 “아시아 중시를 내세우더니 뒷통수를 쳤다”는 비판뿐만 아니라 일본 강경우파로부터도 좋은 소리를 못듣고 있는 것이다.
도쿄/김도형 특파원 aip2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