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해역 놓고 신경전
28일 시작돼 다음달 1일까지 계속되는 한-미 연합군사훈련 해역의 성격을 두고 한국·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이 치열하다. 중국은 지난 26일 훙레이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우리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어느 일방이 허락 없이 어떠한 군사적 행위를 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한미연합사 관계자는 28일 “훈련 해역은 서해 쪽 한국 영해와 공해 중간”이라며 “중국 배타적 경제수역과는 관련이 없는 곳”이라고 말했다. 이번 훈련은 서해 한국 쪽 배타적 경제수역과 한-중 잠정조치수역(양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사이에 있는 공동 조업·관리 구역)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마에하라 세이지 일본 외상도 27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과 통화한 뒤 기자들에게 “훈련은 한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안에서 이뤄진다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쪽의 반발에는 군사적으로 민감한 서해의 특수성과 중국 특유의 배타적 경제수역 논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 해양법상 배타적 경제수역은 통상 200해리까지 설정되지만 서해는 제일 넓은 폭이 280해리에 불과하다. 중국 해군의 인줘 소장은 “중국군은 서해의 중간선을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서해에 미 항모가 들어와 군사훈련을 하는 것은 중국 연안 경제의 발전을 크게 위협하는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요미우리신문>은 28일 “합동훈련이 이뤄지는 지역은 바로 중국의 코앞으로, 베이징이나 톈진이 미국 항공모함의 정보 수집 범위에 들어간다”며 “중국은 공중조기경보기(AWACS)를 이용한 정보 수집을 하지 않도록 물밑에서 미국에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도쿄 베이징/정남구 박민희 특파원, 권혁철 기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