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FTA보다 높은 자유화” 요구하며 교섭 서둘러
일본이 참가를 저울질하고 있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지금까지의 자유무역협정(FTA)보다 높은 수준의 자유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미국 정부 관계자들이 밝혔다고 일본 언론들이 15일 보도했다.
<마이니치신문>은 13~14일 이틀간 미국에서 열린 양국의 티피피 첫 실무협의에서 “미국은 농업 분야를 포함한 관세의 원칙적 전면 철폐, 서비스 분야의 규제완화가 협정 참가의 전제조건이라는 뜻을 밝혔다”며 이렇게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미국이 일본에 티피피 교섭을 서둘러 시작하자고 요청했다”며 “이는 ‘자유무역협정’을 넘어선 21세기형 자유무역 규정을 미·일 공동으로 만들고 싶다는 뜻”이라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미국은 관세 이외의 분야를 포함한 자유무역 규정을 만들어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에 확대하는 것이 미국 경제의 발전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티피피는 싱가포르, 브루나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4개국이 2006년에 발효한 시장개방 협정을 바탕으로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페루 등 9개국이 교섭중인 자유무역지대 창설 협정이다. 지난해 말 처음으로 협정 참가에 관심을 보인 일본은 이번 회의에서 “국내시장의 개방을 위한 환경 만들기에 노력하고 있다”며 “6월까지 교섭 참가 여부를 확정하겠다”는 뜻을 미국에 전했다. 미국은 11월 하와이에서 열리는 아·태경제협력체 회의 때 협정을 타결짓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은 일본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제한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는 한편, 우정사업 민영화 추진에 따라 경쟁에서 불리한 입장에 서게 된 외국계 기업의 경쟁조건 확보, 자동차 안전기술기준의 명확화 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 현재 20개월 이하 미국산 쇠고기만 수입을 허용하고 있으나, 미국은 수입제한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이 티피피 교섭에 들어갈 경우 이런 문제가 다시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