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연구팀, 하와이 주변서 확인…육지 매장량 800배
중국의 수출 규제로 국제가격이 계속 치솟고 있는 희토류가 태평양 해저에 세계 육지 매장량의 800배가량이나 쌓여 있다고 일본의 한 연구팀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4일 일본 언론 보도를 보면, 가토 야스히로 도쿄대 공학연구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평양의 하와이와 프랑스령 타이티를 중심으로 한 약 1100만㎢ 지역에 최소 900억t에 이르는 희토류가 매장돼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육지 총매장량 1억1000만t의 약 800배에 이르는 규모다. 연구팀의 조사 내용은 이날 영국의 과학지 <네이처> 인터넷판에 실렸다.
연구팀은 희토류가 수심 약 3500∼6000m 해저에 퇴적돼 있는 두께 2∼70m 진흙층에 포함돼 있어 해저에서 진흙을 퍼올리는 것으로 채취가 가능하며, 육지의 광산에서 채굴한 희토류와 달리 방사성 원소가 거의 포함돼 있지 않아 품질이 좋다고 설명했다. 가토 교수는 “해저의 화산 폭발로 분출한 제오라이트 성분이 희토류를 흡착해 바다 밑에 쌓인 것”이라고 추정했다. 공해상의 자원은 아직까지 상업적으로 개발한 사례는 없지만, ‘인류 공동의 재산’으로 규정돼 1994년에 설립된 국제조직인 ‘국제해저기구’가 관리한다.
17종류의 희귀금속을 아울러 부르는 희토류는 철 등에 섞어 자성이나 열에 견디는 성질을 강화하는 특징이 있으며,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휴대전화 등에 폭넓게 쓰인다.
희토류는 중국에 49%, 독립국가연합에 12%, 미국에 12%, 인도에 3%가량 매장돼 있으며, 현재 90%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희토류의 수출량을 급격히 줄이고 있어, 희토류 국제가격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인터넷상의 국제지표로 보면, 전기자동차나 풍력발전기 모터의 자석원료로 가장 중요한 디스프로슘의 국제가격이 지난해 여름 1㎏당 100달러에서 5월 하순 900달러로 올랐다”며 “그러나 실제 수출업자가 제시하는 가격은 1㎏에 4000달러를 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