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먼사태 때 8.5% 경신…안정성 우려도
외국인의 일본 국채 보유액이 지난해부터 늘어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보인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의 실질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까닭인데, 장기적으로는 일본 국채시장의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염려도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2일 “지난 6월 말 현재 외국인 투자가들이 일본 국채 901조엔어치 가운데 7.4%인 66조8600억엔(약 1000조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다”며 “보유액수 기준 사상 최대였던 2008년 9월의 67조7000억엔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외국인들이 7월에 9400억엔어치, 8월에는 6조4600억엔어치의 일본 국채를 순매수해, 지금은 외국인의 일본 국채 보유액이 사상 최고를 경신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국인의 일본 국채 보유 비율은 리먼브러더스 사태가 있었던 2008년 9월 8.5%가 사상최고치였다.
일본은 국가부채가 국내총생산의 갑절에 육박해 재정위기를 겪는 그리스, 이탈리아 등 유럽국가들보다도 높지만, 외국인이 보유한 국채가 적어 실제 재정위기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외국인의 일본 국채 매입은 일본의 실질금리(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가 미국이나 영국, 유럽보다 크게 높아진 지난해 초부터 본격화됐다.
일본은 명목금리가 제로(0)이지만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여서 실질금리는 플러스 상태다. 반면, 다른 대부분의 선진국은 물가상승률이 플러스여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다. 이에 따라 외국인들의 일본 국채 매입이 늘어나면서, 엔화가치도 계속 상승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주로 중국 등 신흥국 정부의 돈이 일본 채권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