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관계 개선보다 당장은
자국 여론 우선해야할 처지”
자국 여론 우선해야할 처지”
18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가 거론한 양국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협상 논의 재개, 군수 협력, 역사공동연구 등은 그 어느 것도 회담의 주요 사안이 되지 못하고 위안부 문제에 묻혔다.
정상회담 분위기는 17일 교토 영빈관에서 열린 비공식 회합에서부터 딱딱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 정상은 위안부 문제를 염두에 둔 듯 모두 무표정한 얼굴로 한동안 말을 꺼내지 않다가, 주변에서 재촉을 하자 겨우 악수를 나눴다고 한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쪽은 애초 17일 밤 만남을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차를 마시는 형식으로 열고 싶어했으나 한국 쪽이 정상회담에 앞서 우호적인 분위기가 연출되는 것을 피했다고 전했다. 18일 정상회담 뒤 교토의 유명 사찰인 료안지 시찰도 예정시간보다 일찍 끝냈다.
일본 언론들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내 여론이 격화된 것이 이명박 대통령의 강경 발언으로 이어진 것으로 해석했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을 계기로 한국에서 (위안부 문제에 나 몰라라 하는 정부에 대한) 여론이 점차 격화돼, 이번 이 대통령의 방일에 대한 비판 여론도 커졌다”고 강경 발언의 배경을 지적했다.
취임 뒤 가장 먼저 한국을 공식 방문하는 등 한국과의 관계를 중시했던 노다 요시히코 총리도 이 대통령의 강경 발언에 맞대응하는 모습이었다. 그는 위안부 피해에 대한 일본 정부 차원의 배상은 끝났다고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면서, 다만 “인도적 견지에서 (배상을 위한) 지혜를 짜내겠다”고 대답했다.
노다 총리는 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한국 시민단체가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한 평화비를 두고 “매우 유감이다”라며, “서둘러 철거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정상회담 뒤 일본 기자단과 한 회견에서 독도 문제를 제기했냐는 질문에 “겐바 외상이 17일 청와대 수석비서관과 한 회담에서 ‘독도는 우리(일본) 고유의 영토다’라고 항의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언론들은 양국이 국내 정치를 우선할 수밖에 없게 되면서, 위안부 문제가 양국 관계의 발전에 그림자를 드리우게 됐다고 우려했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노다 총리는 대국적 견지에서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가자는 생각을 하고 있지만, 양국의 정상이 모두 정권 기반이 흔들리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디도스 수사발표문, 조현오 청장실서 막판에 고쳐”
■ [한겨레21 단독]“청와대 지시로 디도스 금전거래 덮었다”
■ 노무현 수사 이인규 “저승 가 노통에게 빚 갚으라 따질 것”
■ 네덜란드 가톨릭교회서 수만명 ‘도가니’ 충격
■ ‘일본군 위안부’ 아픈 역사 교과서 집필기준서 뺀 한국
■ [한겨레21 단독]“청와대 지시로 디도스 금전거래 덮었다”
■ 노무현 수사 이인규 “저승 가 노통에게 빚 갚으라 따질 것”
■ 네덜란드 가톨릭교회서 수만명 ‘도가니’ 충격
■ ‘일본군 위안부’ 아픈 역사 교과서 집필기준서 뺀 한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