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대 연구팀 예측
일본 수도권을 진원으로 한 규모 7 이상의 직하형 지진이 앞으로 4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이 70%에 이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존 일본 정부의 공식 추정치에 비해 한층 ‘긴박한’ 경고다.
23일 일본 언론들의 보도를 보면, 도쿄대 지진연구소의 히라타 나오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3월11일 있었던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해 지진활동이 활발해진 점을 반영해 이같은 예측치를 내놨다. 지난해 대지진 뒤 연말까지 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3~6 지진은 하루 평균 1.48차례로, 그전에 비해 5배에 이르렀다. 연구팀은 이 상태가 계속된다는 가정 아래, 규모가 1씩 커질 때마다 지진의 발생빈도는 10분의 1씩 내려간다는 기존 데이터를 활용해 지진을 예측했다.
이에 앞서 일본 정부의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수도권 직하형 지진을 포함해 미나미간토(남관동) 지역에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확률이 ‘30년 이내 70%’라고 지난해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예측치가 도쿄대 지진연구소의 공식발표는 아니지만, 이 연구소 전 소장인 히라타 교수팀의 연구결과라는 점에서 파문이 일 것으로 보인다고 <티비에스>(TBS) 방송은 보도했다. 해저가 아니라 육지 또는 근해의 얕은 지하에 진원을 두는 직하형 지진은 수평이 아니라 상하 진동이 심해 국지적으로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일본에선 겐로쿠 대지진(1703)이나 관동 대지진(1923)이 수도권 직하형 지진에 해당한다. 히라타 교수는 “건물의 내진화, 목조건물의 불연화 등은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므로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산하 중앙방재회의는 도쿄만 북부를 진원으로 하는 규모 7.3의 지진이 일어나면 사망자가 최대 1만1000명, 건물의 완파 또는 화재에 의한 소실이 85만채에 달할 것으로 상정하고 있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