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자료사진
기준치의 40배 세슘 검출
지난해 3월 방사능 대량유출 사고를 일으킨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주변 지역의 지렁이는 그야말로 방사능 덩어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렁이는 조류나 멧돼지 등 다른 야생동물의 먹이여서,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타고 방사능 오염이 계속 번질 가능성이 높다.
<마이니치신문>은 6일 하세가와 모토히로 일본 삼림총합연구소 주임연구원(토양동물학)이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약 20㎞ 떨어진 가와우치무라의 국유림에서 지난해 8월 하순~9월 하순 사이 지렁이를 잡아 검사한 결과 1㎏당 2만베크렐의 방사성 세슘이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식용 육류의 경우 방사성 세슘 기준치는 1㎏당 500베크렐이다.
하세가와 연구원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이 낙엽에 붙어 있다가 낙엽이 분해되면서 유기물에 섞여 지렁이의 먹이가 되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임야청이 지난해 8~9월에 한 토양 방사능 조사에서는 가와우치무라의 흙 1㎡에서 약 138만베크렐의 방사성 세슘이 검출된 바 있다. 이 무렵 대기 중 방사선량은 시간당 3.11마이크로시버트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 도쿄 방사선량의 70~80배였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