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7일, 후쿠시마 사고 1년에 즈음해 일본 도쿄 경제산업성 건물 앞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탈원전을 주장하는 농성을 벌이고 있다. <한겨레> 김도형
일 국회 조사결과…“7000여명은 20년 뒤에도 집에 못돌아가”
지난해 3월11일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방사능 유출사고로 피난중인 이들 가운데 당일 원전사고가 일어났음을 알았던 세대는 다섯 가운데 하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국회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 조사위원회가 지난 3월 피난지구로 지정된 12개 기초 지방자치단체 5만세대 가운데 1만세대를 무작위 추출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원전사고가 일어난 것을 당일 알았다”는 주민은 원전에서 가까운 지자체에서도 20%를 넘지 못했다고 <도쿄신문>이 10일 보도했다. 또, 사고 당일인 11일 정부가 원자력 긴급사태를 선언하고 원전 반경 3㎞ 안에 있는 사람에게 피난 지시를 내린 사실을 안 사람은 전체의 10% 정도에 그쳤다. 이는 원전사고가 초기에 심각한 국면으로 치달을 경우 인명피해가 심해질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9일 후쿠시마 시내에서 열린 후쿠시마 부흥재생협의회에서 발표한 자료에서, 앞으로 20년 뒤에도 최대 7000여명이 옛 집으로 귀환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귀환 곤란지역은 방사선 피폭량이 연간 20밀리시버트를 넘는 곳이다.
현재 연간 피폭량이 20~50밀리시버트인 지역의 피난민은 2만7000여명, 연간 50밀리시버트를 넘는 지역의 피난민은 2만8000여명 가량이다. 일본 정부는 10년 뒤에는 연간 20밀리시버트 이상인 지역의 피난민이 약 1만5000명가량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오쿠마마치는 현재 피난민 9300명 전원이 10년 뒤에도 귀환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노태우, 추징 무릅쓰고 ‘비자금 400억’ 밝힌 까닭
■ “거제도에 용접하러 가도, 쌍용차서 일했단 이유로…”
■ 친척에게 빌렸다는 돈 출처는 이상은…다스 실소유주 의혹 재점화
■ “할머니 분장 딱 좋은 얼굴…20대부터 할머니 역만”
■ 세계적 건축가 ‘레고레타 건물’ 사라질 판
■ 노태우, 추징 무릅쓰고 ‘비자금 400억’ 밝힌 까닭
■ “거제도에 용접하러 가도, 쌍용차서 일했단 이유로…”
■ 친척에게 빌렸다는 돈 출처는 이상은…다스 실소유주 의혹 재점화
■ “할머니 분장 딱 좋은 얼굴…20대부터 할머니 역만”
■ 세계적 건축가 ‘레고레타 건물’ 사라질 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