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노 요헤이 전 일본 관방장관
“위안부 강제성 계속 부정하면 일본, 국가신용 잃어버릴수도”
요미우리 인터뷰서 ‘자료 근거’ 역설
요미우리 인터뷰서 ‘자료 근거’ 역설
1993년 옛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과한 이른바 ‘고노 담화’의 당사자인 고노 요헤이 전 일본 관방장관이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계속 부정하면 국가 신용을 잃게 될지 모른다”고 경고했다.
고노 전 장관은 8일치 <요미우리신문> ‘시대의 증언자’ 코너 편집자와 한 인터뷰에서 고노담화는 “한국과 일본뿐 아니라 미국의 국립공문서관 등의 자료를 신중하게 검토해 당시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의 책임으로 결정한 ‘내각의 의지’를 담은 것이었다”면서 “각료회의 결정으로 채택하지는 않았지만, 그 뒤 모든 일본 내각이 이어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럼에도 문서로 된 증거가 없다며 전후 반세기가 지나도록 당시 고통을 겪은 여성의 존재와 전쟁기간 동안의 비극마저 없었던 것처럼 주장하는 것에 슬픔마저 느낀다”면서 “(이러면) 일본은 아시아뿐 아니라 구미제국으로부터도 인권의식을 의심받고 국가의 신용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고노 전 장관은 담화의 내용을 결정하게 된 경위와 관련해, 전임자인 가토 고이치 관방장관이 조사결과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문서로 확인되지 않았다고 1992년 7월 밝힌 뒤, 자신이 경찰과 방위성, 외무성 등 각 부처에 다시 조사를 의뢰했으며, 마지막으로 옛 위안부 피해자 16명을 대상으로 직접 청취조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청취 내용에 “일본군이 위협해 여성을 연행하거나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고 속였으며, 때로는 하루 20명 이상의 병사를 상대했고, 일본군이 패주할 때 버려졌다는 증언이 있었다”면서, “이런 일들이 일본군에 거역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강제성’을 인정해야만 하는 내용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위안부의 증언을 읽은 미야자와 총리가 충격을 받았다고 회고했다.
고노 전 장관의 이런 증언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사실상 부정한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일본유신회 대표)과 자민당 총재 선거운동 과정에서 “자민당이 집권하면 고노담화를 수정할 것”이라고 공언한 아베 신조 자민당 총재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도쿄/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캠프 김호기 교수 “10월말부터 단일화 논의”
■ “박, 위기의식 이해 부족”…식지않는 ‘지도부 사퇴론’
■ “해적에 납치된 아버지 석방 도와주세요”
■ 성묘 뒤 열나고 머리 지끈…헉, 감기가 아니네
■ “재벌들은 죄지어도 특별사면…반칙 통하니 살맛 안나”
■ ‘어머니 고향’ 호소하며… 박근혜, 충청권 선두 다지기
■ [화보] 드럼통이 나가신다!
■ 안캠프 김호기 교수 “10월말부터 단일화 논의”
■ “박, 위기의식 이해 부족”…식지않는 ‘지도부 사퇴론’
■ “해적에 납치된 아버지 석방 도와주세요”
■ 성묘 뒤 열나고 머리 지끈…헉, 감기가 아니네
■ “재벌들은 죄지어도 특별사면…반칙 통하니 살맛 안나”
■ ‘어머니 고향’ 호소하며… 박근혜, 충청권 선두 다지기
■ [화보] 드럼통이 나가신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