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회 저출산 고령화 이어져
인구는 2008년부터 이미 감소세
인구는 2008년부터 이미 감소세
일본인 4명 가운데 1명은 만 65살 이상 ‘노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총무성은 29일 2015년 국세조사(한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일본의 베이비붐 세대인 ‘단카이 세대’(1947~1949년생)가 노인 인구에 본격 편입되며 전체 인구에서 만 65살 이상 고령 인구의 비율이 무려 26.7%로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10년 전 조사 때보다 3.7%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1920년 국세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대치다. 이에 견줘 만 15살 미만 인구는 고령 인구의 절반 수준인 12.7%에 머물렀다. 일본 인구는 2008년 1억2808만명을 정점으로 줄어들기 시작해 지난해엔 1억2711만명을 기록했다.
일본 사회가 ‘초고령 사회’(노인 인구 비율이 25%를 넘는 사회)로 접어들며, 정부는 고령층을 부양하기 위한 사회보장비 확보와 인구 감소로 시름하는 지방 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대응에 내몰리고 있다.
인구 감소에 대한 아베 정권의 해법은 ‘1억 총활약 사회’다. 이 전략의 핵심은 일본 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니 전통적으로 가사와 육아를 담당해왔던 여성들의 집안일 부담을 줄여 노동력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구 감소 사회에서 다양한 노동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노동력 인구의 감소가 급속히 진행돼 경제력이 쇠퇴하고 사회보장제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문제는 사멸해가는 지방도시다. 일본 내 47개 광역지자체 가운데 노인 인구의 비율이 25%를 넘는 곳은 41곳이었다. 특히 아키타현의 노인 인구 비율이 33.5%로 가장 높았고, 그밖에 고치현(32.9%)과 시마네현(32.6%) 등이 뒤를 이었다. 일본 정부는 각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지방창생 전략을 세워 실행 중이나 아직까지 똑 부러진 해법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