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09 15:37 수정 : 2019.12.09 15:51

DJI ‘매빅 프로’. DJI 제공

닛케이 “기밀 새어나갈 우려”
미국의 ‘중국산 퇴출’과 보조 맞추기

DJI ‘매빅 프로’. DJI 제공

일본 해상보안청이 내년부터 중국산 무인기(드론)의 구매와 활용을 보류할 예정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9일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해상보안청이 중국제 드론을 사용할 경우 기밀이 새어나갈 우려가 있다고 보고, 내년부터는 중국산 무인기를 사지 않으며, 현재 보유 중인 중국산 드론을 다른 기종으로 대체하기 위한 예산을 반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해상보안청은 드론을 해상 구조 활동 외에도 중국과 영유권분쟁을 빚고 있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 해역 감시와 북한 어선 감시에 활용하고 있다. 해상보안청이 보유한 드론은 수십여대인데, 다수가 중국제다. 중국산 드론이 비교적 저렴한 데다가 성능도 뛰어나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가 해상 감시 활동에서 중국산 드론을 퇴출하려는 움직임은 미국과 보조를 맞춘 것이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지난 5월 “권위주의 국가의 영역 내로 미국의 정보를 가져가는 모든 기술 제품에 대해 미국 정부는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경고했다. 국가와 업체를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세계 최대 드론 업체인 중국 디제이아이(DJI)를 염두에 둔 경고 메시지라는 해석이 많았다. 이에 디제이아이는 “우리 기술의 안전성은 전 세계로부터 반복적으로 검증을 받았다”고 반박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정부 조달 물품에서 중국 통신업체인 화웨이의 제품을 사실상 배제하는 조처를 내렸다. 이보다 앞서 미국 정부가 정부 물품으로 중국 통신업체인 화웨이 제품을 사지 않기로 하자 보조를 맞춘 것이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