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23 16:03 수정 : 2019.12.23 16:30

지난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렸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막 때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의 모습. AP 연합뉴스

출국 길에 “청구권협정 한-일 관계 근본”
문 의장 제안에 “어찌됐든 한국이 행동하길”

지난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렸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막 때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의 모습. AP 연합뉴스

한-일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3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나라와 나라 사이 약속을 (한국이) 지켜줘야 한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을 방문하기에 앞서 도쿄 총리 관저에서 한-일 정상회담에 관한 질문을 받고 기자단에 이렇게 말했다. 그는 “(1965년) 일-한 청구권협정은 일-한 국교정상화 전제이며, 일-한 관계의 근본을 이루는 것”이라며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아베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의 강제노동 성격을 희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를 포함해 일본의 생각을 확실히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대법원 강제동원 배상 판결이 한-일 청구권협정 위반이라는 주장을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 때 다시 할 생각을 내비친 셈이다. 아베 총리는 “현재 동아시아 안전보장 환경을 생각하면 일-미-한, 일-한 연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한·일 기업 기부금과 국민의 자발적 성금으로 재단을 만들어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위자료(위로금)를 지급하는 법안을 발의한 것과 관련한 생각을 묻자 그는 “다른 나라 입법부 논의에 대해 발언하는 것은 삼가겠다”며 직접적인 반응을 내놓지는 않았다. 다만. “어찌됐든 일-한 관계를 건전하게 만들기 위해 한국 쪽이 행동을 취해 계기를 만들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일 관계를 위해 행동을 취해야 하는 것은 한국 쪽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베 총리는 중국 방문 첫날인 23일 오후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시 주석이 주최하는 만찬 행사에 참석한다. 이어 24일 오전 열리는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과 리커창 총리가 중국 대표로 참석하는 한·중·일 정상회담 일정을 소화한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