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23 20:37 수정 : 2019.12.24 10:10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에 늘어서 있는 오염수 보관용 물탱크들의 모습. 삼중수소를 제외한 다른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 오염수를 보관하는 용도다. 사진은 2017년 촬영된 것이다. 후쿠시마원전 공동 취재단

전문가 소위원회 보고서
지하 매설안 등은 배제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에 늘어서 있는 오염수 보관용 물탱크들의 모습. 삼중수소를 제외한 다른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 오염수를 보관하는 용도다. 사진은 2017년 촬영된 것이다. 후쿠시마원전 공동 취재단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이하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처리 방법에 대해서 바다 방류 또는 수증기 방출 두가지 안으로 처리 방향을 좁히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경산성) 내에 설치돼 오염수 처리 대책을 논의하는 전문가 소위원회(소위)는 후쿠시마원전 오염수를 처리하는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바다 방류 △증발시켜서 대기에 방출 △두가지 안을 병행하는 세가지 안을 공표했다. 최종 결론이 난 것은 아니지만 사실상 ‘오염수 바다 방류’ 쪽으로 향해 가는 모양새다.

특히, 전문가 소위는 그동안 검토해온 지하 매설 안 등은 처리 방법에서 배제했다. 전문가 소위는 2016년부터 오염수 처리 방법을 검토해왔으며, 이날 공표된 초안 보고서는 소위 사무국이 정리한 것이다. 보고서는 오염수 방출 시기와 기간에 대해서는 “정부가 책임을 가지고 결정해야 한다”고 적는 데 그쳤다. 그러나 처분량을 고려했을 때 적어도 10년은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정부가 사실상 오염수 바다 방류로 방향을 잡은 데 대해 일본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후쿠시마현 이와키시 어업협동조합 위원장은 “바다 방류는 시기상조다. 어업 후계자들에게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일본 정부는 전문가 소위가 오염수 처분 일정 등에 대해 최종 의견을 내면, 이를 토대로 기본 방침을 정한 뒤 도쿄전력 주주들과 국민 의견을 듣는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후쿠시마원전에서는 2011년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 뒤 원전에 지하수가 스며들어 지금도 방사능 오염수가 하루 170t가량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현재 약 110만t이 물탱크에 저장돼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보관할 수 있는 부지가 2022년 말이면 한계에 이를 것이라며,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해왔다.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불리는 장치를 이용해 삼중수소를 제외한 방사성물질(62종)을 기준치 이하로 정화했기 때문에, 오염수가 아니라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후쿠시마 오염수 가운데 알프스 정화 작업이 끝난 89만t(총 95만t)을 조사해보니, 80%가 넘는 75만t이 여전히 배출 기준치를 넘는 방사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었던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일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후쿠시마, 끝나지 않은 재앙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