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지 진보신당 대변인
“언니가 국회의원 돼서 우릴 떠나믄 어떡하노?” “학교가 우리 또 탄압하면 우짜노?” 진보신당 비례대표 1번 울산지역연대노조 울산과학대지부장 김순자님이 출마를 두고 고심할 때, 그녀의 동료들은 그렇게 눈물바다가 되었다. 울산과학대가 해고 등으로 자신들을 탄압할 때 김순자 지부장이라는 울타리는 든든한 그녀들의 힘이었기 때문이다.
청소노동자의 국회 진출은 사실 김순자 후보가 처음이 아니다. 이미 통합진보당(옛 민주노동당)의 홍희덕 의원도 청소노동자로 유명하다. 하지만 김순자 후보를 받아들이는 국민의 반응은 2008년 홍희덕 의원 당시와 매우 다른 듯하다.
비정규직은 노조를 만들면 안 되는 줄 알았다는 김순자 후보, 2006년 노조에 가입해서 2007년 정몽준 의원이 이사장으로 있는 울산과학대의 부당해고에 맞서 정몽준 의원실 점거 등의 투쟁을 통해 해고 철회를 얻어냈다. ‘울산에서 정몽준을 이긴 유일한 여성 노동자’라는 그녀의 별명은 그렇게 시작됐다.
정치권 어느 누구나 ‘비정규직’과 ‘노동’의 문제를 말한다. 그리고 그 해결책을 내놓느라 난리다. 그러나 실제 노동조합으로 포괄되기 힘든 비정규 노동자의 목소리를 모아낼 수 있는 방법은 지극히 제한적이다. 국회의원이 되면 무엇이 제일 하고 싶으냐는 물음에 “청소노동자들의 휴식공간을 의무화하는 건축법을 만들고 싶다”는 그녀의 대답에서 진보신당의 비례대표 공천의 의미를 알 수 있다.
“언니가 떠나는 게 두렵다”는 김순자 후보의 동료들께 말씀드린다.
월급 93만원 청소노동자 김순자
당 살리기 위해 뛰어든 홍세화
벽안의 비판적 지식인 박노자 등
실천과 이론의 결합을 중시했다 ‘순자 언니’는 국회에서 더 많은 노동자들의 울타리, 대변자가 될 것이기에, 지금 당장 지부장을 떠나보내더라도 더 많은 결실을 들고 돌아올 것임을 잊지 말아 주시라. 홍세화 대표의 비례대표 2번 수락 역시 쉬운 과정은 아니었다. 지식인으로서 본격적 정치생활보다는 명망가 등의 탈당 이후 당을 살리기 위해 당대표직을 수락한 홍세화 대표에게 비례대표 앞 순번은 김순자 후보 같은 ‘배제된 자’들의 몫이었기 때문이다. 진보정치인이라 불리던 사람들의 합종연횡이 마치 ‘진보의 재구성’인 듯 착시현상을 벌이고 있는 시대, 진짜 진보정당을 살리겠다고 벽안의 한국인이자 비판적 지식인인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까지 나섰다. 순자와 노자, 진보신당 비례대표는 ‘실천과 이론’의 결합, ‘투쟁과 사상’의 결합이다. 당직까지 꽉 채워야 한 달에 93만원의 급여를 받는 김순자 후보, 여성 가장으로서 생활비는 물론 자식의 학비를 대는 것조차 버거운 액수다. 서민을 위한 정당이 되겠다고 여야가 한목소리로 말할 때, 어떤 정당이 진짜 서민 청소용역 노동자를 내세울 수 있는가. 그 외에도 생협활동가 이명희, 희망버스 구속자 정진우, 원칙 있는 여성 교육운동가 장혜옥 등이 진보신당 비례대표로 나섰다. 진보신당에는 여느 정당에 있는 정파간 배분도, 안배도 없다. “왜 진보신당을 택했느냐”는 기자의 물음에 김순자 후보는 “진보신당밖에 저 같은 사람 안 불러 줍니다”라고 답했다. 그것이 19대 총선에서 진보신당의 비례대표 공천의 의미이며 당신이 정당투표에서 진보신당을 찍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박은지 진보신당 대변인 <한겨레 인기기사>
■ 이것이 봄날의 스트레칭이다람쥐~
■ 민주, 이정희 압박하려 ‘경선 탈락’ 백혜련 공천 강행
■ 호주머니 속 삼성 ‘갤S2’ 배터리 폭발
■ “박찬호 괜찮은거야?”
■ “태양 폭발 뉴스 잦아진 이유는…”
당 살리기 위해 뛰어든 홍세화
벽안의 비판적 지식인 박노자 등
실천과 이론의 결합을 중시했다 ‘순자 언니’는 국회에서 더 많은 노동자들의 울타리, 대변자가 될 것이기에, 지금 당장 지부장을 떠나보내더라도 더 많은 결실을 들고 돌아올 것임을 잊지 말아 주시라. 홍세화 대표의 비례대표 2번 수락 역시 쉬운 과정은 아니었다. 지식인으로서 본격적 정치생활보다는 명망가 등의 탈당 이후 당을 살리기 위해 당대표직을 수락한 홍세화 대표에게 비례대표 앞 순번은 김순자 후보 같은 ‘배제된 자’들의 몫이었기 때문이다. 진보정치인이라 불리던 사람들의 합종연횡이 마치 ‘진보의 재구성’인 듯 착시현상을 벌이고 있는 시대, 진짜 진보정당을 살리겠다고 벽안의 한국인이자 비판적 지식인인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까지 나섰다. 순자와 노자, 진보신당 비례대표는 ‘실천과 이론’의 결합, ‘투쟁과 사상’의 결합이다. 당직까지 꽉 채워야 한 달에 93만원의 급여를 받는 김순자 후보, 여성 가장으로서 생활비는 물론 자식의 학비를 대는 것조차 버거운 액수다. 서민을 위한 정당이 되겠다고 여야가 한목소리로 말할 때, 어떤 정당이 진짜 서민 청소용역 노동자를 내세울 수 있는가. 그 외에도 생협활동가 이명희, 희망버스 구속자 정진우, 원칙 있는 여성 교육운동가 장혜옥 등이 진보신당 비례대표로 나섰다. 진보신당에는 여느 정당에 있는 정파간 배분도, 안배도 없다. “왜 진보신당을 택했느냐”는 기자의 물음에 김순자 후보는 “진보신당밖에 저 같은 사람 안 불러 줍니다”라고 답했다. 그것이 19대 총선에서 진보신당의 비례대표 공천의 의미이며 당신이 정당투표에서 진보신당을 찍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박은지 진보신당 대변인 <한겨레 인기기사>
■ 이것이 봄날의 스트레칭이다람쥐~
■ 민주, 이정희 압박하려 ‘경선 탈락’ 백혜련 공천 강행
■ 호주머니 속 삼성 ‘갤S2’ 배터리 폭발
■ “박찬호 괜찮은거야?”
■ “태양 폭발 뉴스 잦아진 이유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