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진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기후변화는 인간의 생활뿐만 아니라 전 생명체의 생존에 영향을 끼친다. 기후변화 관련 정부 간 패널(IPCC) 보고서에 따르면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로 인해 기후 양극화는 가속된다고 한다. 기후변화는 해양과 육지에서 더 많은 수증기의 이동 및 분포를 왜곡시켜 홍수와 가뭄의 규모를 증가시킨다. 2017년 미국 휴스턴에서는 허리케인 ‘하비’에 의해 우리나라 연강수량에 맞먹는 1200㎜ 폭우로 엄청난 피해를 입었고, 지난해 3월에는 백년만의 가뭄으로 인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타운에서는 ‘물 없는 날’(Day Zero)을 겪기도 했다. 포츠담기후영향연구소 레만 박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유발한다고 주장한다. 500여년 조선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에 ‘가뭄’이라는 단어는 약 1만2800회 등장한다. 최근 우리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유례없이 극심한 가뭄을 경험했다. 이로 인해 2015년에 충남지역 8개 시·군은 사실상 제한급수에 가까운 용수 부족을 경험해야 했고, 2017년에는 대구·경산 등 남부지역 많은 시민이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는 금강과 보령댐, 금호강과 운문댐을 연계하는 사업을 조기 착수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지만 자칫 국가적 위기로 확대될 수 있었다. 길었던 가뭄은 지난해 평년 수준의 비가 내리면서 현재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해소됐다. 그러나 국가 가뭄관리 측면에서는 지금부터 기후변화 대비 가뭄관리를 준비해야 한다. 지난 5월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주관 ‘2019 국제 가뭄포럼’은 각 나라의 사례와 극복 방안에 대한 좋은 교훈이 됐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극한 가뭄을 예방하는 방안으로 각국 가뭄 전문가와 국제기구들이 참석해 경험과 극복 방안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책과 기술을 소개했다. 그중 오스트레일리아는 2001년부터 약 10년간 장기 가뭄으로 용수공급 제한, 농업 생산량 감소 등 엄청난 피해를 경험한 바 있는데, 최근 들어 다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해 용수 부족, 산불, 수질 문제 등의 심각한 영향을 경고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각 나라의 점차 심화되는 가뭄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를 만들기 위해 우리도 단발성 대책이 아닌 지속적인 가뭄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가뭄에 따른 사회·환경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정보화해 가뭄 정보를 민간에 개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후변화에 따라 국지적으로 강수량의 편차가 증가하므로 유역 간 연계, 수계 간 연결 등 물 공급 네트워크를 효율성 있게 구축해야 한다. 즉, 가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스마트워터그리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수원의 다변화를 위해 빗물, 하수 등 물의 재이용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물복지 차원에서 도서·산간지역 취약계층에 대한 상수원 확대 보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공급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수요 관리 차원으로 국민들이 기후변화와 가뭄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물을 절약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을 해야 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과 장기 가뭄 등의 회복력과 탄력성을 키우지 않으면 오스트레일리아나 남아공의 사례와 같은 ‘메가(mega) 가뭄’의 위험이 닥칠 수 있다. 지금 비가 온다고, 댐과 저수지에 물이 차 있다고 해서 절대 안심할 수 없다는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왜냐면 |
[왜냐면] 극한 가뭄 대응을 위한 스마트 물관리 / 장석환 |
대진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기후변화는 인간의 생활뿐만 아니라 전 생명체의 생존에 영향을 끼친다. 기후변화 관련 정부 간 패널(IPCC) 보고서에 따르면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로 인해 기후 양극화는 가속된다고 한다. 기후변화는 해양과 육지에서 더 많은 수증기의 이동 및 분포를 왜곡시켜 홍수와 가뭄의 규모를 증가시킨다. 2017년 미국 휴스턴에서는 허리케인 ‘하비’에 의해 우리나라 연강수량에 맞먹는 1200㎜ 폭우로 엄청난 피해를 입었고, 지난해 3월에는 백년만의 가뭄으로 인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타운에서는 ‘물 없는 날’(Day Zero)을 겪기도 했다. 포츠담기후영향연구소 레만 박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유발한다고 주장한다. 500여년 조선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에 ‘가뭄’이라는 단어는 약 1만2800회 등장한다. 최근 우리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유례없이 극심한 가뭄을 경험했다. 이로 인해 2015년에 충남지역 8개 시·군은 사실상 제한급수에 가까운 용수 부족을 경험해야 했고, 2017년에는 대구·경산 등 남부지역 많은 시민이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는 금강과 보령댐, 금호강과 운문댐을 연계하는 사업을 조기 착수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지만 자칫 국가적 위기로 확대될 수 있었다. 길었던 가뭄은 지난해 평년 수준의 비가 내리면서 현재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해소됐다. 그러나 국가 가뭄관리 측면에서는 지금부터 기후변화 대비 가뭄관리를 준비해야 한다. 지난 5월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주관 ‘2019 국제 가뭄포럼’은 각 나라의 사례와 극복 방안에 대한 좋은 교훈이 됐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극한 가뭄을 예방하는 방안으로 각국 가뭄 전문가와 국제기구들이 참석해 경험과 극복 방안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책과 기술을 소개했다. 그중 오스트레일리아는 2001년부터 약 10년간 장기 가뭄으로 용수공급 제한, 농업 생산량 감소 등 엄청난 피해를 경험한 바 있는데, 최근 들어 다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해 용수 부족, 산불, 수질 문제 등의 심각한 영향을 경고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각 나라의 점차 심화되는 가뭄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를 만들기 위해 우리도 단발성 대책이 아닌 지속적인 가뭄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가뭄에 따른 사회·환경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정보화해 가뭄 정보를 민간에 개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후변화에 따라 국지적으로 강수량의 편차가 증가하므로 유역 간 연계, 수계 간 연결 등 물 공급 네트워크를 효율성 있게 구축해야 한다. 즉, 가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스마트워터그리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수원의 다변화를 위해 빗물, 하수 등 물의 재이용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물복지 차원에서 도서·산간지역 취약계층에 대한 상수원 확대 보급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공급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수요 관리 차원으로 국민들이 기후변화와 가뭄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물을 절약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을 해야 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과 장기 가뭄 등의 회복력과 탄력성을 키우지 않으면 오스트레일리아나 남아공의 사례와 같은 ‘메가(mega) 가뭄’의 위험이 닥칠 수 있다. 지금 비가 온다고, 댐과 저수지에 물이 차 있다고 해서 절대 안심할 수 없다는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