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새말탐험] 청소년의 새말 / 김한샘

등록 2006-06-21 21:45수정 2006-06-21 21:48

새말탐험
20여 년 전만 해도 유행어를 만들어 내는 이들은 주로 대학생들이었다. ‘바보’(바라볼수록 보고 싶은 사람),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 덩어리) 등의 재미있는 말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유행했다. 인터넷이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잡으면서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들의 나이대가 낮아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졌다.

이들이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유로는, 크게 시간 제약, 공간 제약, 집단의식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빨리 글을 쓰려고 이어 적고(머시따), 줄여 적고(셤), 단어나 음절을 숫자로 대신한다(쪽8리다). 짧은 글에 감정을 나타내고자 자음·모음 등을 교체하고(그리구), 문장부호를 겹쳐 쓰며(!!!), 그림말을 사용한다(^^;). 이런 말들은 또래끼리 소통하는 곁말(은어)로 자리잡았다.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문화가 다른 것이 자연스러운데도 새말이 문제가 되는 것은 소통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이 직접적인 대화보다는 인터넷이나 이동통신을 통한 의사소통을 선호하고, 기성세대는 이들과 대화할 여유가 없으므로 세대 단절이 깊어진 것이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새말 만들기가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기발한 새말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엿볼 수 있다. 무조건 쓰지 말라고 청소년들을 다그칠 것이 아니라 학습 공간, 공적인 장소, 어른과 대화하는 자리에서 바른 말을 쓸 수 있는 분별력을 기르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