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마을
새들이 꽃 지는 소리를 입에 물고 날아갔다
요사채 댓돌에 젊은 중이 앉아 있다
러닝셔츠 바람에 선글라스를 끼고
어깨가 섹시한
동백 한 송이 떨어졌다
이만 총총
짧은 인사처럼
바람에 색이 묻어났다
길이 멀어서 허공도 짐이 되었다 대웅전 벽은 혼자 놀게 두고 새들은 알 속으로 돌아가 보이지 않았다 누가 꽃 속에 절을 매고 빨래를 널었다 이마 물렁물렁한 부도가 해를 비껴 서 있다 -시집 <이발소 그림처럼>(실천문학사)에서 조 정 1956년 전남 영암에서 태어났다. 200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길이 멀어서 허공도 짐이 되었다 대웅전 벽은 혼자 놀게 두고 새들은 알 속으로 돌아가 보이지 않았다 누가 꽃 속에 절을 매고 빨래를 널었다 이마 물렁물렁한 부도가 해를 비껴 서 있다 -시집 <이발소 그림처럼>(실천문학사)에서 조 정 1956년 전남 영암에서 태어났다. 200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