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마을
신발장 위에 늙은 신발들이 누워 있다
탁발승처럼 세상 곳곳을 찾아다니느라
창이 닳고 코가 터진 신발들은 나의 부처다
세상의 낮고 누추한 바닥을 오체투지로 걸어온
저 신발들의 행장(行狀)을 생각하며, 나는
촛불도 향도 없는 신발의 제단 앞에서
아침저녁으로 신발에게 경배한다
신발이 끌고 다닌 수많은 길과
그 길 위에 새겼을 신발의 자취들은 내가 평생 읽어야 할 경전이다 나를 가르친 저 낡은 신발들이 바로 갈라진 어머니의 발바닥이고 주름진 아버지의 손바닥이다 이 세상에 와서 한평생을 누군가의 바닥으로 살아온 신발들 그 거룩한 생애에 경배하는 나는 신발의 행자(行者)다 -시집 <신발의 행자>(문학들)에서 김 경 윤 1957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전남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1989년 무크 <민족현실과 문학운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아름다운 사람의 마을에서 살고 싶다>가 있다.
그 길 위에 새겼을 신발의 자취들은 내가 평생 읽어야 할 경전이다 나를 가르친 저 낡은 신발들이 바로 갈라진 어머니의 발바닥이고 주름진 아버지의 손바닥이다 이 세상에 와서 한평생을 누군가의 바닥으로 살아온 신발들 그 거룩한 생애에 경배하는 나는 신발의 행자(行者)다 -시집 <신발의 행자>(문학들)에서 김 경 윤 1957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전남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1989년 무크 <민족현실과 문학운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아름다운 사람의 마을에서 살고 싶다>가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