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마을
한몸인 줄 알았더니 한몸이 아니다
머리를 받친 목이 따로 놀고 어디선가 삐그덕
나라고 생각하던 내가, 내가 아니다
딱 맞아떨어지지 않는다 언제인지 모르게
삐긋하기 시작했다 머리가 가슴을 따라주지 못하고
충직하던 손발도 저도 몰래 가슴을 배반한다
한맘인 줄 알았더니 한맘이 아니다
늘 가던 길인데 바로 이 길이라고,
이 길밖에 없다고, 나에게조차 주장하지 못한다
확고부동한 깃대보다 흔들리는 깃발이 살갑고
미래조의 웅변보다 어눌한 현재진행형이 나를 흔든다
후배 앞에서는 말수가 줄고 선배 앞에서는
그가 견뎌온 나날만으로도 고개가 숙여진다
실행은 더뎌지고 반성은 늘지만 그리 뼈아프지도 않다
모자란 나를 살 뿐인, 이 어슴푸레한 오후
-시집 <축제>(애지)에서
김 해 자
1961년 전남 신안에서 태어나 목포에서 자랐다.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8년여 조립공 미싱사 보조로 일했다.
1998년 <내일을 여는 작가>를 통해 등단했으며, 전태일문학상을 받았다.
시집 <무화과는 없다>를 펴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