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마을
흙도 가려울 때가 있다
씨앗이 썩어 싹이 되어 솟고
여린 뿌리 칭얼대며 품속 파고들 때
흙은 못 견디게 가려워 실실 웃으며
떡고물 같은 먼지 피워올리는 것이다
눈밝은 농부라면 그걸 금세 알아차리고
헛청에서 낮잠이나 퍼질러 자는 갈퀴 깨워
흙의 등이고 겨드랑이고 아랫도리고 장딴지고
슬슬 제 살처럼 긁어주고 있을 것이다 또 그걸 알고 으쓱으쓱 우쭐우쭐 맨머리 새싹은 갓 입학한 어린애들처럼 재잘대며 자랄 것이다 가려울 때를 알아 긁어주는 마음처럼 애틋한 사랑 어디 있을까 갈퀴를 만나 진저리치는 저 살들의 환희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은 사는 동안 가려워 갈퀴를 부른다 -시집 <저녁 6시>(창비)에서 이재무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동국대 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1983년 <삶의 문학>을 통해 등단해 시집 <섣달 그믐> <벌초> <푸른 고집> 등을 냈다. 난고문학상, 편운문학상, 윤동주시상을 수상했다.
슬슬 제 살처럼 긁어주고 있을 것이다 또 그걸 알고 으쓱으쓱 우쭐우쭐 맨머리 새싹은 갓 입학한 어린애들처럼 재잘대며 자랄 것이다 가려울 때를 알아 긁어주는 마음처럼 애틋한 사랑 어디 있을까 갈퀴를 만나 진저리치는 저 살들의 환희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은 사는 동안 가려워 갈퀴를 부른다 -시집 <저녁 6시>(창비)에서 이재무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동국대 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1983년 <삶의 문학>을 통해 등단해 시집 <섣달 그믐> <벌초> <푸른 고집> 등을 냈다. 난고문학상, 편운문학상, 윤동주시상을 수상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