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석 논설위원
유레카
세 개의 문이 있다. 하나를 잘 선택하면 승용차를 거저 가질 수 있다. 당신이 한 문앞에 선다. 그러자 주최 쪽에서 남은 두 문 가운데 하나를 열어 아무 것도 없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당신에게 다시 기회를 준다. 애초 선택을 유지하는 게 좋을까, 아니면 다른 문으로 바꾸는 게 나을까.
이른바 ‘몬티 홀 문제’다. ‘흥정합시다’라는 미국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의 사회자 이름이 몬티 홀이었다. 많은 이들은 그대로 있든 다른 문으로 바꾸든 자동차를 가질 확률이 2분의 1로 같다고 생각한다. 정답은 그게 아니다. 그대로 있으면 확률이 3분의 1, 바꾸면 3분의 2다.
이유는 여러 방식으로 설명된다. 쉽게 생각해, 애초 선택한 문의 확률(3분의 1)은 그대로지만 다른 문에는 두 문의 확률이 더해졌다고 볼 수 있다.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마지막 두 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사람에게는 양쪽 확률이 2분의 1로 똑같다. 반면 처음부터 참여한 사람에겐 그가 가진 추가 정보가 성공 확률을 높여준다. 이처럼 확률은 대상의 속성이 아니라 ‘마음의 상태’를 반영한다.
이런 일은 일상적으로 일어난다. 문제가 같더라도 푸는 사람이 사전 정보와 지식을 얼마나 가졌냐에 따라 답을 맞힐 확률은 달라진다. 같은 거리에서도 교통사고가 일어날 확률은 운전자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확률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세계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원자재난도 심각하다. 위기 요인을 가볍게 봐선 안 되지만 과장할 이유도 없다. 우리가 얼마나 영향받을지는 위기 자체보다는 우리 노력에 달렸다. 모든 정보와 지식을 활용해 확률을 낮춰가야 한다. 그런데 정부는 미리 정해놓은 성장 목표에 매달리며 마음을 다잡지 못하는 듯해 걱정스럽다. 이런 ‘마음의 위기’는 실제 위기를 부를 확률을 높이기 마련이다.
김지석 논설위원 j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