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언어예절] 더하고 빼기 / 최인호

등록 2009-04-02 23:11

언어예절
가르는 말이 있고 모으는 말이 있다. 누구나 이런저런 생각이 깃들어 갈피를 잡기 어려워한다. 나누고 따지고 부추기고 차별하는 생각이 같은 묶음이며, 더불고 합치고 덮고 맺고 모으는 일이 한묶음이다. 이는 죽임과 살림, 부정과 긍정으로 나타난다. 빼기와 가르기를 부정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거품은 빼야 하고, 부풀려진 것은 제모습을 찾도록 해야 한다. 썩은 데는 도려내고, 나쁜 것은 골라내야 한다. 그래야 병이 낫고 새살이 돋으니까. 하나를 여투어 둘을 먹게 하고, 괴로움·기쁨도 나누면 짐이 가벼워지고 기쁨은 더한다. 그러니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누는 일 어느 하나 긴하지 않은 게 없다.

슬기로운 이는 막힌 것을 트고 뜻을 통하며 산다. 울타리와 벽을 치게 하는 종자가 있다. 시기·질투·무시·원망·체념·질림·싫증 … 들이다. 자기만 옳다거나 못났다고 여기는 마음도 벽이요 울타리다.

마음을 트는 데는 대화가 기본이다. 여러 지수가 있지만 우리 사회의 의사소통 지수도 만들어 볼 만하겠다. 최고의 틈은 인정을 베푸는 것이다. 대체로 가르는 말은 매몰차며 싹싹한 맛이 없고 옹골지고 표독스럽다. 이런 말은 듣는 이로 하여금 마음을 다치게 하고 원망을 품게 한다. 이때는 얘기를 하지 않는 게 낫다. 우리 사회에서 벽을 치고 사람을 가르는 말은 색깔론·지역감정·차별의식·학벌숭상 … 들에서 나온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