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짐승이름] 청설모 / 정호완

등록 2009-05-13 22:53

짐승이름
“양떼구름 무리지어 놀고 있네/ 그리움 한 뼘씩 물어뜯으며/ 비대해진 바람이 지나가면서 잎새들의/ 어깨를 툭툭 치며 가네// 청설모 서너 마리 그네 타는 숲을 건너/ 집요하게 알곡을 챙기고, 우물가/ 개복숭아 욕심껏 햇살 퍼 담네/ 떫은 속 노을로 채우고 있네”(류제희의 ‘가을, 율사리’ 중에서)

오솔길을 걷노라면 솔방울 까먹고 버리는 껍질들이 수럭수럭 나뭇잎이 되어 떨어져 내리는 듯하다. 가까이 가도 그리 무서워하는 눈치도 아니다. 나무를 오르내리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 청서(靑鼠)는 다람쥐의 일종이다. 청서에 리을이 덧붙고, 털이 있는 특징을 잡아 모(毛)를 더해 청설모라 이른 것이다. 청설모는 꼬리에 털이 많고 길며, 귀에도 긴 털이 나 있다. 긴 꼬리의 털 덕에 나무에서 떨어져도 다치지 않으며 헬리콥터의 꼬리날개처럼 방향을 마음대로 바꾸기도 한다는데, 등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종이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청서는 나무 타기 선수다. 몸도 나무 위에서 살기에 알맞게 돼 있다. 발톱이 워낙 날카로워 미끄러운 나무줄기도 잘 기어오른다. 가느다란 가지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는다. 먹이는 나무열매·곤충·새순·새알 등이며, 나무 위에 집을 짓고 4~10월에 한배에 3~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청설모가 있는 곳에서는 동요 속에 나오는 다람쥐들은 살 수가 없다. 황소개구리에게 밀린 개구리 신세가 된 것인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