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철 노무현재단 사무처장
언론, 특히 신문의 여러 기능 가운데 하나는 국어를 아름답게 사용하는 일입니다. 표준어를 사용하는 이유, 비속어를 쓰지 않는 이유 모두 국민들의 언어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공기(公器)로서 국어를 아름답게 지키기 위함입니다. 편집국에 교열부까지 둬서 거듭거듭 원고를 다듬는 이유도 같습니다.
특히 <한겨레>는 창간 이후 지속적으로 우리말과 글을 아름답게 지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해 온 매체입니다.
6월11일치 ‘한홍구-서해성의 직설’을 읽으며 제 눈을 의심했습니다. 다시 인용하기도 민망한 표현이 제목으로 뽑혀 있었기 때문입니다.
서거한 전직 대통령을 향해, 생전의 그를 육두문자로 욕했던 사람들이 썼던 부박한 표현이, 다른 신문도 아니고 우리말글살이를 소중하게 지켜온 <한겨레> 신문의 제목에까지 등장하게 된 과정을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대담자로 나온 세 사람이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 건지는 잘 알겠습니다.
그러나 돌아가신 분, 특히 서거한 전직 대통령을 향해 함부로 사용한 그런 표현이 아무런 여과 없이 제목으로까지 뽑힌 것에 대해선 대단히 유감스럽습니다. 그리고 실망스럽습니다.
노무현 대통령 생전이든 서거 후든 비판은 자유입니다.
<한겨레>라고 예외는 아닙니다. 그러나 표현에 금도가 있는 법입니다. 문제의 표현은 금도를 넘어섰습니다. 망자에 대한 예의가 아닙니다. 게다가 비속어입니다. 술자리에서 거나하게 취한 사람들이 쓸 표현입니다.
자신의 어떤 주장을 강하게 하려면 논리가 뛰어나거나 식견이 뛰어난 내용을 갖고 해야지, 비속어나 자극적이거나 튀는 표현으로 하게 되면 반감을 사게 됩니다. 하수들이 쓰는 방법입니다. 개인이나 매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 기사가 나가고 많은 독자들이 항의를 한 데에는 문제의 표현뿐 아니라 ‘관 장사’라는 자극적 표현에 대해서도 강한 불쾌감을 느꼈기 때문일 겁니다. 많은 국민들이 돌아보고 싶지 않은 기억이 있습니다. 지난해 5월23일 노무현 대통령의 비극적 서거, 그리고 5월29일의 운구행렬, 그리고 화장. 노 대통령의 ‘관’ 하면 떠오르는 기억이 그것인데 거기에 ‘장사’(비즈니스)라는 표현을 갖다 붙인 건 취지가 어찌 됐든 자극적입니다. 당사자가 유족의 입장에서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쓴 표현인지 묻고 싶습니다. 예의가 아닙니다. 표현의 당사자든 편집자든 사려 깊지 못했음을 아프게 돌아보길 바랍니다. 이번 일은 방송으로 치면 ‘방송사고’입니다. 방송에서 비속어나 욕설, 부적절한 표현이 사회적 물의를 빚게 되면 문제의 발언을 한 출연자는 교체되거나 정중히 사과하는 게 도리입니다. 어떤 성의 있는 후속조처를 취하고 말지는 당사자와 언론사의 선택이고 권한입니다. 하지만 책임이기도 합니다. 억지로 요구하지 않겠습니다. 지켜보겠습니다. <한겨레>는 창간 이후 지금까지 황색 저널리즘을 철저히 경계해 온 걸로 압니다. 선동적이고 자극적인 표현으로 손님을 끌고 여론을 호도하는 특기는 다른 특정 신문들의 영업 방식입니다. 저희들의 실망감은 거기에 있습니다. 촌철살인의 날카로운 비판과 황색 저널리즘을 구분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한겨레 정신’이 아닙니다. <한겨레>다운 품위와 예의를 지켜주실 것을 정중히 부탁합니다.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을 뛰어넘으라고 촉구하기 이전에, ‘망자에 대한 예의’ ‘독자에 대한 예의’를 지키기 위해 자극적 제목장사의 유혹을 뛰어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충고를 감히 드립니다. 양정철 노무현재단 사무처장
자신의 어떤 주장을 강하게 하려면 논리가 뛰어나거나 식견이 뛰어난 내용을 갖고 해야지, 비속어나 자극적이거나 튀는 표현으로 하게 되면 반감을 사게 됩니다. 하수들이 쓰는 방법입니다. 개인이나 매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 기사가 나가고 많은 독자들이 항의를 한 데에는 문제의 표현뿐 아니라 ‘관 장사’라는 자극적 표현에 대해서도 강한 불쾌감을 느꼈기 때문일 겁니다. 많은 국민들이 돌아보고 싶지 않은 기억이 있습니다. 지난해 5월23일 노무현 대통령의 비극적 서거, 그리고 5월29일의 운구행렬, 그리고 화장. 노 대통령의 ‘관’ 하면 떠오르는 기억이 그것인데 거기에 ‘장사’(비즈니스)라는 표현을 갖다 붙인 건 취지가 어찌 됐든 자극적입니다. 당사자가 유족의 입장에서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쓴 표현인지 묻고 싶습니다. 예의가 아닙니다. 표현의 당사자든 편집자든 사려 깊지 못했음을 아프게 돌아보길 바랍니다. 이번 일은 방송으로 치면 ‘방송사고’입니다. 방송에서 비속어나 욕설, 부적절한 표현이 사회적 물의를 빚게 되면 문제의 발언을 한 출연자는 교체되거나 정중히 사과하는 게 도리입니다. 어떤 성의 있는 후속조처를 취하고 말지는 당사자와 언론사의 선택이고 권한입니다. 하지만 책임이기도 합니다. 억지로 요구하지 않겠습니다. 지켜보겠습니다. <한겨레>는 창간 이후 지금까지 황색 저널리즘을 철저히 경계해 온 걸로 압니다. 선동적이고 자극적인 표현으로 손님을 끌고 여론을 호도하는 특기는 다른 특정 신문들의 영업 방식입니다. 저희들의 실망감은 거기에 있습니다. 촌철살인의 날카로운 비판과 황색 저널리즘을 구분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한겨레 정신’이 아닙니다. <한겨레>다운 품위와 예의를 지켜주실 것을 정중히 부탁합니다.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을 뛰어넘으라고 촉구하기 이전에, ‘망자에 대한 예의’ ‘독자에 대한 예의’를 지키기 위해 자극적 제목장사의 유혹을 뛰어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충고를 감히 드립니다. 양정철 노무현재단 사무처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