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말글살이] 참공약 / 강재형

등록 2012-11-15 19:22

대통령 선거일을 한달 남짓 남겨두고 대선 후보들의 이모저모에 대해 설왕설래가 이어진다. ‘대통령의 딸’이 대통령이 될 수 있을까, ‘후보 단일화’를 외치는 야권은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을까, ‘0%대 지지율’을 보이는 후보들은 선거일까지 완주할 수 있을까 따위의 것들이다. 이런 화제는 웃음으로 시작했다 괜한 트집으로 이어져 끝내 입씨름으로 바뀌기 십상이다. ‘정책’이 아니라 ‘이미지’에 경도된 이들이 많기 때문일 것이다. ‘박근혜, 해양수산부 존폐 / 문, 10조 해저터널 공약 / 안, 4대강 사업에 대해 / 이랬다저랬다’(ㅈ일보), ‘세 후보의 불편한 진실 - 말 바꾸기’를 다룬 신문 제목에서 보듯 이번 선거도 공약(公約)과 공약(空約)이 뒤범벅되는 형국이다.

‘헛된 약속’의 공약(空約)을 솎아내려 시작한 게 ‘매니페스토 운동’이다. ‘매니페스토’는 ‘분명한 의미, 매우 뚜렷함’의 의미를 담은 라틴어 ‘마니페스툼’(manifestum)에서 나온 말로 ‘선언, 성명’의 뜻이다.(위키백과)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펴낸 <공산당 선언>(The Communist Manifesto)에서 알 수 있듯이 원뜻이 ‘선언’인 것이다. 선거 정책 등을 분명히 하기 위해 영국 보수당이 펴내기 시작한 게 시초로 알려진 ‘선거(정책) 매니페스토’는 2003년 일본 중의원 선거에 등장하면서 2005년 총선 때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상륙했다.

따지고 보면 ‘정부, 정당, 입후보자 등이 어떤 일에 대하여 국민에게 실행할 것을 약속함. 또는 그런 약속’(표준국어대사전)인 ‘공약’이 곧 ‘매니페스토’인 셈이다. 지난주에 국립국어원은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에서 ‘매니페스토’를 다듬은 말로 ‘참공약’을 선정했다. ‘진짜’ 또는 ‘진실하고 올바른’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참-’을 붙여 ‘공약’의 제 뜻을 돋을새김한 것이다. 오늘로 퇴임 100일을 앞둔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이 새삼 떠오른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한겨레 인기기사>

안철수 “문재인, 제대로 보고 못 받고 있는 것 같다”
단일화는 홍어X…“그래도 우리가 이긴다”
외신기자 “박근혜 아무 내용 없는 연설해”
신설동엔 유령역이 있다는데…
홍준표, 경비원에 “니 면상…너까짓 게” 막말
홈플러스, 매장 좀도둑 협박해 거액 뜯어내
[화보] 책임져야 사랑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