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만한 것들에 다들 순위를 매기는 세상이다 보니, 교육·지식의 산실인 대학에도 순위가 매겨지는 건 당연해 보인다. 그런데 당연한 대학 순위 평가를 당연하지 않다는 눈으로 들여다보는 이들이 있다.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 즉 유네스코가 요즘 트렌드가 된 ‘대학 순위 매기기’를 조명해 <고등교육의 순위 매기기와 책임>이라는 보고서(goo.gl/ntcUgO)를 최근 펴냈다.
대학 순위 평가는 일찍이 1900년 영국에서 처음 이뤄졌다고 한다. 당대 저명인들의 성공 배경을 조사하며 출신 학교의 순위를 매긴 게 시작이었다. 대학 순위 평가는 이후 80년 동안 별 관심을 끌지 못했으나, 1983년 ‘미국 최고 대학들’, 1993년 ‘타임스 좋은 대학 가이드’가 나온 이래 크게 늘었다. 이제 세계 순위는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여러 곳이 순위를 매겨 발표하니 대학 서열화는 나라 안팎의 유행이다.
유네스코 보고서는 대학 순위 매기기에 대한 찬반을 다루되 하나의 결론을 제시하진 않았다. 중립을 내세운 국제기구의 한계이자 장점일 것이다. 대신에 보고서는 순기능도 지닌 서열화가 어떻게 오용될 수 있는지 들여다본다. 눈에 띄는 내용은 이렇다. 세계 100대 대학은 세계 고등교육기관 1만7000여곳의 1퍼센트도 안 되는 극히 일부다. 상위 대학에 관심이 쏠리니 정작 수많은 이들한테 소중한 평범한 대학들은 소외된다. 개별 대학을 넘어 대학 ‘체제’를 개선하는 데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교육, 연구, 사회적 책임 같은 대학 기능 중에서 특히 과학기술 연구 평가에 집중된 경향은 큰 문제다. 물론 대학 순위는 학생들한테 좋은 진학 정보가 되며 대학에는 평가와 개선의 계기가 되는 긍정 역할도 한다.
보고서는 이렇게 묻는 듯하다. 무엇에 열심히 순위를 매기고, 그 무엇을 순위로 부르고 기억하면서, 우리가 오히려 놓치는 본래의 중요한 가치는 없는가? 순위에 빠져들 때 생기는 문제는 물론 대학만이 아닐 것이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