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해거름 무렵 한 아나운서가 퇴근했다. ‘좋은 데 가는 모양?’이라는 의례적인 인사에 ‘남이사’ 한마디를 남기고. 그는 떠났지만 아나운서 몇의 설왕설래는 이어졌다. 빈자리 늘어가는 사무실을 채운 대화는 대충 이랬다. “남이사?” “그러게, (방송에) 써도 되나?” “(인터넷 검색 뒤) 사전에 있네. ‘남이야 뭘 하든 무슨 상관이냐’는 뜻.” “사전에 나오면 방송할 때 써도 되겠다.” “어떤 사전?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없는데!” “그러면 안 되는 거네. 거기 없으면….” “찾았다! ‘남이사’는 경상도 사투리. ‘내사’와 같은 뜻인데 (사투리 억양으로) 내사~ 남이사~ 그럴듯하지?” 몇 해 전의 일이다.
지난주 점심 무렵에도 비슷한 갑론을박이 있었다. “‘대갚음’은 맞지만 ‘대갚다’와 ‘되갚음(되갚다)’은 틀린 표현”이라는 인터넷에 떠다니는 정보가 단초가 되었다. 이 가운데 ‘대갚음’만 표제어로 올라 있으니 앞의 정보는 그럴듯해 보인다. (표준국어대사전) 같은 사전은 ‘분패’의 뜻풀이 뒤에 ‘전번 시합에서의 분패를 되갚아야 한다’는 예문을 들었다. 얼핏 보면 앞뒤가 안 맞는 정보다. 이를 두고 국립국어원은 “‘되갚다’는 ‘되+갚다’의 구성으로, 일부 동사 앞에 붙어 ‘도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되-’가 붙은 꼴로 틀렸다고 볼 수 없다. 사전에는 접사가 붙은 말을 모두 등재하기는 어렵기에 접사를 먼저 표제어로 올리고, 접사가 붙은 몇몇의 단어들을 표제어로 삼아 등재하고 있다”고 정리한다.(‘온라인 가나다’)
‘남이사’처럼 인터넷 ‘오픈’ 국어사전에는 있고 ‘진짜’ 국어사전에는 없는 게 있다. ‘되갚음’처럼 국어사전에 오르지 않았으니 바르지 않다고 단언하는 것 또한 무리다. 사전에 나오지 않는다고 반드시 틀린 표현은 아니라는 얘기다. 인터넷 정보 과잉은 말글살이 세상에도 해당된다. 중요한 것은 신뢰할 만한 정보와 그렇지 않은 것을 가려내는 안목인 것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