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이상수의 고전중독] 만국의 대인배여, 단결하라

등록 2014-01-20 19:12

송나라 때 범중엄은 권신의 권력 제한과 농민 부담 감소 등을 뼈대로 한 개혁을 추진했다. 이로 인해 이권을 빼앗긴 하송 등 수구파들은 범중엄, 구양수 등을 ‘당인’(黨人, 파벌분자)으로 몰아 좌천시켰다. 격렬한 정치투쟁 속에서 구양수는 ‘붕당론’(朋黨論)을 썼다. 이 글에서 구양수는 후한 말기 환관의 폐단을 비판한 두밀 등 개혁세력이 되레 환관에게 ‘당인’이라 몰려 탄압받은 일, 당나라 말기 주전충이라는 간신이 ‘청류’라 불리던 30여명의 대신들을 몰살하고 “이들은 청류이니, 탁류에 던져도 된다”며 주검을 황하에 버린 일 등 ‘당인’의 비극적 역사를 일깨운다. 그는 “소인배는 이해관계에 따라 모이고 흩어지기 때문에 거짓 붕당을 만들 뿐이며, 군자는 도의와 믿음을 바탕으로 사귀기 때문에 참된 붕당을 만든다”고 주장한다. “이익과 재물을 탐하여 다툼을 일삼다 혈연관계조차 깨지는 게 소인배의 사귐”인 반면, “처음과 끝이 같은 게 군자의 사귐”이기 때문이다. 군주가 할 일은 오로지 군자와 소인배를 구별하는 것이며, “소인배의 거짓 붕당(僞朋)을 물리치고 군자의 참된 붕당(眞朋)을 쓰기만 하면 천하가 다스려질 것”(爲人君者, 但當退小人之僞朋, 用君子之眞朋, 則天下治矣.)이라는 게 구양수의 주장이었다. ‘당인’으로 몰려 탄압받은 이가, 군자라면 모름지기 참된 붕당으로 대동단결해야 한다는 주장을 정면에서 제기한 것이다.

소인배들도 이권을 위해 똘똘 뭉칠 수 있고, 군자들도 작은 견해 차이로 갈라서는 현실을 볼 때, ‘붕당론’은 이상주의적인 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군자들이 단결해야 한다는 원칙은 여전히 소중하다. 소인배와 야합하는 이나 분열을 일삼는 이는 군자라 하기에 부족하다. 그래서 ‘야권 연대’를 하니 마니 하는 논의보다, 무엇을 위한 연대인지 보여주는 게 더 중요하다. 누구를 떨어뜨리기 위한 네거티브 연대는 유효기간이 지났다.

<주역> ‘계사전’은 “두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면 무쇠도 자를 수 있고, 같은 마음에서 나오는 말은 난초의 향이 난다”(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고 했다. 대인배 군자들이라면 이해관계를 극복하고 반드시 단결할 것이니, 두려워할 게 무엇인가.

이상수 철학자 blog.naver.com/xuande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