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은 지질 현상의 하나를 가리키는 용어다. 정보통신기술(IT) 용어로 쓰일 때도 있다. 지질학에서 ‘싱크홀’은 ‘용식 함지’라 한다. ‘용식’은 빗물이나 지하수가 암석을 녹여서 침식하는 현상, ‘함지’는 움푹 꺼져 들어간 땅을 뜻한다. 석회암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싱크홀’이 최근엔 자연 지형과 무관한 곳에서도 일어난다. 지하 난개발의 결과로 추측하지만 진짜 원인이 무엇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싱크홀’은 ‘디엔에스(DNS) 싱크홀’, ‘디도스(DDoS) 싱크홀’처럼 ‘악성 봇 차단 솔루션’의 하나를 이르는 이름이다.
문화방송이 <신비한 티브이 서프라이즈>에서 소개한 ‘싱크홀’은 외국의 불가사의 현상을 엮어 전한 ‘남의 얘기’였다.(2010년) 에스비에스가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괴구멍 미스터리, 싱크홀의 정체는?’을 다루면서 비로소 ‘한국도 싱크홀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2012년) 기사 검색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국내 언론에 ‘싱크홀’이 등장한 때는 2010년이다.(네이버) 나라밖 소식으로 이따금 알려지기 시작한 ‘싱크홀’은 국내 발생이 늘기 시작한 2012년 이후 기사 빈도가 늘어났다. 최근 ‘제2롯데월드’ 공사현장 근처 사고로 ‘수도권 주민 95%, “싱크홀 무서워”’(<한겨레> 8월21일) 하는 세상이 되었다.
‘싱크홀’(sink hole)이 낯설 때 매체들은 ‘순식간에 땅이 푹 꺼져 버리는(현상)’, ‘멀쩡하던 땅이 갑자기 꺼져 생기는 구멍’, ‘(땅이)가라앉아 생긴 구멍’, ‘지반이 붕괴되는(현상)’, ‘거대 구멍’, ‘움푹 팬 웅덩이’, ‘지반침하’ 따위의 설명을 붙였다. 명사인 원어를 설명적으로 다루거나, 웅덩이(움푹 파여 물이 괸 곳)처럼 풀이가 적절하지 않은 것도 있다. ‘땅꺼짐’은 어떨까. 널리 쓰이고(14만2000건, 구글), 정부 발표문에도 나오는 표현이다.(‘물관리 종합대책’, 1996년 8월)
강재형 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