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즈음이 되면 단골로 등장하는 기사와 프로그램이 있다. ‘귀성길’, ‘차례상차림’, ‘제수용품 가격’, ‘선물세트’ 따위를 소재로 삼은 것들이다. 엊그제 뉴스는 여기에 새로운 시선을 더했다. ‘달라진 추석 풍속도’를 다룬 것이다. “‘추석’ 연관 검색어를 분석해보니 ‘차례’, ‘귀성’, ‘고향’보다 ‘여행’, ‘레저’의 빈도가 3배 높았고 ‘성형’도 빠지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기자는 ‘민속 명절’에서 ‘가을 휴가’로 바뀌어 가는 세태를 보도했다. 그래도 변함없는 게 ‘추석 선물’이다. 명절 선물에서 빠지지 않는 ‘갈비세트’는 구이용과 찜, 탕거리에 따라 ‘불갈비’와 ‘찜갈비’, ‘탕갈비’로 구분해 판다. ‘갈비구이’와 ‘갈비찜’, ‘갈비탕’ 같은 음식 이름과 구별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1984년 신문에 ‘불갈비는 고기량이 많고 찜갈비는 지방이 많으며 탕갈비는 뼈가 많다’(경향신문), ‘불갈비(킬로그램당 8천원), 국갈비(˝ 3천원)…’(동아일보)가 보인다. 재료로써 ‘○+갈비’는 오래전부터 쓰인 셈이다. 사전은 ‘찜’의 뜻과 쓰임을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찐 음식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제시한다. 사전까지 끌어오지 않아도 된다. 갈비찜, 게찜, 계란찜, 북어찜, 생선찜, 닭찜, 아귀찜, 애저찜…. 이처럼 음식 이름은 ‘○+찜’의 형태이다. ‘찜+○’가 아닌 것이다. 그렇다면 음식을 가리키는 ‘찜갈비’와 ‘찜닭’은 어떻게 봐야 할까.
‘찜갈비’의 고향은 대구의 ‘동인동 찜갈비 골목’이다. ‘동인동 찜갈비’는 갈비찜과 달리 ‘경상도 음식답게’ 맵다는 게 특징이다. 2002 월드컵 경기가 대구에서 열리면서 널리 알려진 음식이다. ‘찜닭’의 본고장은 경북 안동 구시장의 ‘찜닭골목’이다. ‘안동찜닭’이 개발되기 전인 1980년대까지 ‘통닭골목’으로 불린 곳이다. ‘(동인동)찜갈비’와 ‘(안동)찜닭’은 고유명사이다. 갈비찜과 닭찜의 한 종류인 ‘찜갈비’, ‘찜닭’을 일반화해 가리키는 것은 삼가야 한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