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도로표지, 문화재 안내, 지도 등에 표기하는 지명(geographical names) 등에 관한 영문표기 지침(안)을 발표하였다. 정부의 관계 부처 간에 합의한 내용을 가지고 올해 안에 문체부 훈령으로 제정할 예정이다. 한강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Hangang River로 쓰라는 것이다.
현재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에서는 지명에 대한 로마자표기 규정이 국제적 양식에 맞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문체부에서는 지명의 영문표기를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더 맞지 않게 함으로써, 지명의 분류어 지위를 영어에 양보하고 우리말 분류어를 사라지게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지명은 문자화된 지리정보의 코드이다.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따르면 Hudson River(허드슨 리버), Church Street(처치 스트리트)와 같은 지명은 고유명(proper names)으로서, 고유어(specific)+분류어(generic, classifier)로 구성된 복합어로 본다. Hudson River에서 Hudson은 고유어이고 River는 분류어로 분석된다. 그러면 한강을 Hangang River라고 표기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살펴보자.
첫째, 한강을 Hangang River라고 표기하면 고유명 양식에 따라 Hangang이 고유어, River는 분류어로 분석된다. 그런데 고유어 자리에 있는 Hangang은 고유어 Han과 또 하나의 분류어 gang을 포함하고 있다. 지명에 이중으로 분류어를 포함하고 있으니 이러한 이중 분류어 영문표기 방식은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맞지 않는다.
둘째, 한강을 Hangang River로 변환한다면, 변환된 것을 한글로 역변환할 때는 한강강으로 되어 원천어 한강으로 복원되지 못한다. 이것은 이중 분류어 영문표기 방식이 구조적 오류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한강을 Hangang River로 표기하면 gang이 River에 밀려서 분류어 자리에 못 가고 고유어 자리에 있게 된다. gang은 한 개체의 고유어 Han과 결합한 Hangang으로 고유어 자리를 차지하게 되어 분류어로서 역할을 못한다. 이렇게 우리말 분류어 gang(강), san(산) 등이 개체의 고유어 생성재료로만 사용되고 고유명의 분류어 체제를 갖추지 못하면 우리말 분류어는 세계어에서 사라질 것이다.
유엔지명전문가그룹(UNGEGN)에서는 지명표준화정책을 주도하는데, 중국에서는 西平山(시핑산)을 Xiping Mountain 혹은 Xiping Shan으로 표기하기로 하였고, 일본에서는 富士山(후지산)을 Fuji San으로, 東京灣(도쿄완)을 Tokyo Wan으로 표기하기로 하였다.
우리도 영문법과 지명표준화정책에 맞춰서 Han Gang(공식 지명) 혹은 Han River로 표기하기를 제안한다. 관광이나 문화재 안내용으로는 Han Gang/River로 하면 유용하다. Han이 고유어이고 Gang/River가 분류어인데 Gang의 번역어가 River라는 뜻이다. 그리고 한강을 의미별, 음절별로 띄어서 Han Gang으로 표기하면 Hangang보다 더 구분하여 의미를 파악하기 쉽고, 우리말에 가깝게 발음할 것이다.
고유명은 문자화된 정보코드이지 설명문이 아니다. 고유명 영문표기에서 분류어를 이중으로 표기하여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 국제주소표준(UPU S42)에도 어긋나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말 분류어 Gang(강), San(산)도 Jiang, River, Rivier나 Shan, Mountain, Mont 등과 같이 고유명의 분류어 체제를 갖추어 세계어 속에서 언어적 지위를 갖게 되기를 바란다.
김선일 과실연 집행위원·부경대 교수
김선일 과실연 집행위원·부경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