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전우용의 현대를 만든 물건들] 역직기

등록 2016-07-13 17:48수정 2016-07-13 19:25

전우용
역사학자

인류가 옷을 만들어 입기 시작한 것이 몸을 가리기 위해서였는지 마음(수치심)을 가리기 위해서였는지는 단정하기 어려우나, 이후 옷은 ‘인간다움’의 확실한 표지가 되었다. 옷을 제대로 차려입으면 문명인, 그러지 않으면 야만인, 안 입으면 짐승이라는 구분법은 사람들의 의식 안에 면면히 이어져 왔다. 1885년 서울 주재 일본영사관이 자국민에게 발한 지시사항 제2호는 “속옷 차림으로 돌아다녀 제국(帝國)의 체모를 손상시키지 말 것”이었다.

직기(織機)는 고대 이집트에서도 사용되었으나, 그 진보 속도는 무척 더뎠다. 250여년 전까지는 식물의 줄기나 동물의 털에서 뽑아낸 섬유로 가는 실을 만드는 일, 수백 가닥의 실을 직기에 세로로 가지런하고 올곧게 걸어 고정시키는 일, 세로실의 위아래로 번갈아가며 가로실을 교차시키는 일 등이 모두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졌다.

대다수 문화권에서 직조는 여성의 일이었는데, 조선시대 직기로 베 한 필을 짜기 위해서는 베틀 앞에서만 꼬박 열흘 정도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세종 대 기준으로 한 필은 가로 32.8㎝, 세로 16m38㎝였다. 여기에 그보다 시간이 더 걸리는 실잣기뿐 아니라 다른 가사노동을 겸해야 했으니, 1년 내내 짬날 때마다 베틀 앞에 앉아 일해도 예닐곱 필을 짜는 게 고작이었다. 게다가 그중 두 필은 국가가 군포(軍布)로 징수했다. 한 필로 어른 옷 한 벌 정도를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남은 것으로는 1년에 식구들 옷 한 벌씩도 해 입히기 어려웠다.

산업혁명은 직조혁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733년 플라잉셔틀이라는 혁명적 수직기가, 1785년에는 증기의 힘을 이용한 역직기가 발명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역직기를 이용한 직조가 본격화한 것은 1919년 조선방직이 610대, 이듬해 경성방직이 100대를 들여온 이후이다. 현대인들은 직조혁명 덕에 옛날 왕보다도 더 자주 새 옷을 장만하지만, 늘 입을 옷이 마땅치 않다고 불평을 늘어놓는다. 물질 생산의 증가 속도보다도 물질에 대한 욕망의 증가 속도가 훨씬 빨랐기 때문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