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을 받을수록 손해?
정부가 프로스포츠의 관중 입장을 허용했지만, 현장에서는 지출이 수입을 넘어서는 아이러니가 벌어지고 있다. 입장 허용 관중의 수가 워낙 적은 반면, 이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 비용은 크게 줄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정부의 지원이 있다 하더라도 열 감지 장비 등 시설비도 추가로 들어가고 있다.
정부는 최근 프로스포츠 관중 입장을 수용 인원의 10% 수준으로 허용했다. 하지만 프로야구를 관장하는 케이비오(KBO)가 10% 유관중 경기와 무관중 경기 때의 수입 지출을 비교한 결과, 관중을 받을 때 손실이 커지는 역설을 보여주고 있다.
무관중으로 시즌 720경기를 치를 경우, 프로야구의 전체 수입 공백은 1800억원 안팎이다. 10개 구단 평균으로 나누면 팀당 180억원씩 손해를 본다. 이를 경기당으로 환산하면 2.5억원이다. 전체 티켓값(850억~920억원 안팎)과 식음료 서비스, 상품 판매 수입 등(900억원 안팎)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런데 26일부터 10% 관중을 받고 보니 적자 폭은 경기당 평균 2.53억원으로 더 늘어났다. 살림이 나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간 것은 규모의 경제 요인 때문이다. 입장객을 받게 되면서 통제·운영 인력이 늘어났고 시설 관리, 매장 운영 비용도 증가했다. 10% 관중이 발생시키는 입장료와 파생 수입이 지출을 뛰어넘지 못한다. 이런 사정은 8월부터 관중을 받는 프로축구도 마찬가지다. 관중이 들어와도 지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기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이런 까닭에 정부가 관중 입장 허용 수준으로 정한 10%는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지하철이나 버스, 음식점이나 공연장, 워터파크 등 실내공간을 출입할 때도 10%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정부는 응원을 통해 비말이 튀거나, 다수 관중이 한꺼번에 이동하는 것을 걱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관중 스탠드가 야외에 노출돼 있고, 구단의 코로나19 지침을 준수하는 등 관중의 매너가 성숙했다는 점은 간과하고 있다.
구단은 앞으로 관중 허용 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프로스포츠를 돕겠다고 시행한 10% 관중 허용은 명분이나 실리 측면에서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김창금 스포츠팀 선임기자
kim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