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말겨레’란 문패를 달고 세계 여러 말의 뿌리와 짜임새를 살펴봤다. 어떤 말들은 짜임새가 비슷하면서도 뿌리가 다른 것도 있었고, 짜임새는 조금 다르지만 뿌리가 같은 것도 있었다. 그러면 우리말의 뿌리와 짜임새는 어떤가? 흔히 우리말의 짜임새 특징을 교착어라 한다. 교착어란 문법 형태소를 하나씩 덧...
해안 지방이 아닌 곳에 ‘섬’과 관련된 땅이름이 붙어 있음은 특이한 일이다. 경북 문경 가은읍의 ‘도내’(島內)나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의 ‘도리’(島里) 들이 그렇다. 이런 땅이름은 ‘섬’과는 무관하다. 그런데도 ‘섬’을 뜻하는 한자 ‘도’(島)가 쓰인 까닭은 뭔가? 내륙 쪽에 나타나는 ‘섬’과 관련된 땅이름은 대체로 ...
본디 별난 얘깃거리라 함은 쥐가 고양이를 물었을 때나 백 사람 넘게 관심을 가질 만한 일이라는 민간 상식이 있다. 얼마 전 ‘깽깽이풀 군락지 발견’이란 얘기가 신문·방송에 보도되었을 때 정말 풀꽃의 삶이 새소식 거리가 되는 한가로운 세상에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깽깽이풀’은 재미있는 이름이지만, 왜 ...
끈이 있으니 연이다 묶여 있으므로 훨훨 날 수 있으며 줄도 손길도 없으면 한낱 종잇장에 불과하리 눈물이 있으니 사랑이다 사랑하니까 아픈 것이며 내가 있으니 네가 있는 것이다 날아라 훨훨 외로운 들길, 너는 이 길로 나는 저 길로 멀리 날아 그리움에 지쳐 다시 한 번 돌아올 때까지 -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