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병원의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예방 접종 진료소 모습. 연합뉴스
올가을 코로나19와 독감(인플루엔자)이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유행세가 확실하게 꺾이지 않은 상황에서, 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간 잠잠했던 독감이 빠르게 퍼지고 있어서다. 트윈데믹 발생을 상수로 두고 의료대응체계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14일 브리핑에서 “두 감염병의 동시 유행 가능성이 큰 것은 사실”이라며 “코로나19뿐 아니라 독감 유행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질병관리청이 최근 공개한 올해 36주차(8월28일~9월3일)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를 보면, 독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가 외래환자 1천명당 4.7명으로 집계됐다. 유행 기준치(4.9명)에 바짝 다가선 것이다.
1천명당 4.7명은 지난 5년간 동기 대비 가장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의사환자 분율은 2018년 4.0명, 2019년 3.4명, 2020년 1.7명, 2021년 1.0명이었다. 팬데믹 기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실시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독감 유행 억제라는 부수적 효과가 발생했는데, 거리두기가 없어지면서 다시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의사환자 분율은 최근에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도 연일 수만명씩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9만3981명으로, 일주일 전보다 오히려 늘었다. 연휴 이후 검사 건수 증가가 영향을 미쳤겠지만, 연휴 기간 이동량과 대면 접촉이 늘어난 탓에 당분간 증가세가 유지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국내에서 독감은 통상 11월 말께 유행하지만 올해에는 한달가량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남반구에서도 예년보다 유행이 한달 빨리 왔다. ‘가을 트윈데믹’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2년간 독감이 유행하지 않아 국민의 면역 수준이 낮아진 상태라는 점도 위험 요소다.
코로나19와 독감은 둘 다 호흡기 감염병이어서 증상이 유사하다. 두 감염병이 동시에 유행하면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혼선이 빚어질 우려가 있다. 더욱이 트윈데믹은 우리가 한번도 겪어보지 않은 일이다. 만전의 준비가 없으면 의료체계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동시 진단 체계를 구축하는 데 힘을 쏟기 바란다. 고위험군의 독감 예방접종을 독려하는 일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